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 자동접속기 : 다운로드 , 필기 기출문제(HWP파일) : [다운로드]
전자문제집 CBT란?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실제 시험 프로그램 방식입니다.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 및 CBT 2014년03월02일
1. | 객체지향 기법에서 어떤 클래스에 속하는 구체적인 객체를 의미하는 것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3%
|
2. | 럼바우 객체 모델링 기법에서 사용하는 세 가지 모델링이 아닌 것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3%
| <문제 해설> 럼바우 객체 모델링 기법 - 분석 모델링, 설계 모델링 분석 모델링 : 객체 모델, 동적모델, 기능모델 [해설작성자 : 박정민] |
|
3. | 객체지향 개념 중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데이터 추상화를 의미하는 것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1%
| <문제 해설> gets() : 문자열을 읽어들이는 함수 getchar() : 문자열, 문자를 입력 받는다 puts() : 입력된 문자열을 출력하고 개행을 한다. putchar() : 한글자를 화면에 인쇄한다. [해설작성자 : 박정민] |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 <문제 해설> C언어의 데이터형 - 정수형 : char, unsigned char, short, unsigned short, int, unsigned int, long, unsigned long. 실수형 : float, double, long double 정답은 2번 integer [해설작성자 : 박정민] |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
7. | C 언어에서 이스케이프 시퀀스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 <문제 해설> a: alert, b: backspace, f: form feed, n: new line, r: carriage return, t: tab, v: tab, ..... |
|
8. | C 언어에서 부호 없는 10진수 출력 명령에 사용되는 것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3%
|
9. | 어셈블러를 두 개의 패스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
가. | 한 개의 패스만으로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크기가 증가하여 유지보수가 어렵다. |
나. |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할 수 있어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하다. |
다. | 한 개의 패스만을 사용하면 메모리가 많이 소요된다. |
라. | 패스 1, 2의 어셈블러 프로그램이 작아서 경제적이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
10. | 객체 지향의 기본 개념 중 객체가 메시지를 받아 실행해야 할 객체의 구체적인 연산을 의미하는 것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6%
| <문제 해설> 메소드 : 메시지에 따라 실행시킬 프로시저로서 객체 지향 언어에서 사용되는것, 객체지향 언어에서는 메시지를 수행시킴으로써 통신(communication)을 수행한다. |
|
11. | 어셈블리어에서 어떤 기호적 이름에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 <문제 해설> EQU(equate)이큐 : 숫자형 상수, 레지스터 연관 값 또는 프로그램 연관 값에 상징된 이름을 부여한다. ORG(origin) : 프로그램의 기억 번지를 지정하는 어셈블리언어의 의사 코드, 기점을 나타내는 명령 [해설작성자 : 박정민] |
|
12. | 모듈 작성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 모듈의 내용이 다른 곳에 적용 가능하도록 표준화 한다. |
나. | 모듈 내의 요소들끼리의 응집도는 최대한 작게 한다. |
다. | 자료의 추상화와 정보 은닉의 성격을 띠도록 해야 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4%
|
13. | 원시 프로그램을 어셈블할 때 어셈블러가 해야 할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9%
|
14. | 한 위치의 문자열을 다른 위치의 문자열과 비교하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2%
| <문제 해설> SCAS (Scan String) : AL 레지스터나 AX 레지스터의 값과 ES:DI가 가리키는 값을 비교 CMPS (Compare String) : SI가 가리키는 곳과 DI가 가리키는 곳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플래그를 세트 MOVS (Move String) : DS:SI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값을 ES:DI가 가리키는 메모리로 옮김. [해설작성자 : 박정민] |
|
15. | 어셈블리어에서 DOS나 BIOS 루틴을 부르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2%
| <문제 해설> INT(Interrupt) : 인터럽트를 호출함 INC(Increment) : 오퍼랜드의 값을 1 증가시킴 REP(Repeat String Operation) : 문자열에 관계된 명령들을 지정한 횟수만큼 반복함. [해설작성자 : 박정민] |
|
16. | C 언어의 기억 클래스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1%
| <문제 해설> 자동변수(automatic variable) : 블록 내에서만 유효범위를 갖는 지역 변수로써 스택 상에 확보되어 함수나 블록이 진입 했을때만 생성(실행중평가)되고,종료하면 자동적으로 소멸되는 동적(dynamic)인 영역의 변수를 말한다. 정적변수(static variable) : 단일 프로그램 내에서 블록(실행영역)이 끝날때 까지 변수에 기억되는 값은 소멸되지 않고 계소ㄱ 값을 유지하는 것이다. 외부변수(external variables) : 같은 프로그램이나 서로 다른 프로그램(파일)에서 공동의 영역을 갖는 변수로서 자료를 공유하고자 하는 원시파일 프로그램 간의 자료 창조를 위해 사용된다. 레지스터 변수(register variables) : 변수를 레지스터에 기억 시키고 또 고속 처리 속도를 갖게 하는 변수이다. [해설작성자 : 박정민] |
|
17. |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 컴퓨터가 해석할 수 있는 1 또는 0의 2진수로 이루어진다. |
나. | 각 컴퓨터마다 모두 같은 기계어를 가진다. |
다. | 실행할 명령, 데이터, 기억 장소의 주소 등을 포함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
18. | 객체지향에서 캡슐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
19. | 수명 시간동안 고정된 하나의 값과 이름을 가진 자료로서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동안 값이 절대로 바뀌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3%
| <문제 해설> 상 수 : 일정한 수, 프로그램 내에서 항상 변하지 않는값 변 수 : 변할 수 있는 수, 상수는 항상 일정한 값을 갖는 수 포인터 : 메모리 공간을 가리키는 주소값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박정민] |
|
20. |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대신에 기존의 고수준 컴파일러 언어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2%
| <문제 해설> 링커(Linker) : 생성된 기계어 파일을 실행 파일로 작성하는 일을 담당한다. 정확히 말하면 링커와 로드모듈(Load Module)에 의해 수행된다.
로더(Loader) : 데이터를 메모리에 적재시키는 일을 담당한다.
전처리기(Proprocessor) : 원시 프로그램을 번역하기 전에 미리 언어의 기능을 확장한 원시 프로그램을 생성시키는 시스템 프로그램 (예) C 언어의 #include 문
크로스 컴파일러(Cross compiler) : 원시 프로그램을 다른 컴퓨터의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
컴파일러(Compiler) : 사용자가 고급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2진수 기계어로 번역해주는 번역기 어셈블러(Assembler) :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벅역해주는 번역기 인터프리터(Interpreter) : 고급 언어나 코드화된 중간 언어를 입력 받아 목적 프로그램 생성없이 직접 기계어를 생성하여 실행해주는 프로그램 [해설작성자 : 박정민] |
|
21. | DNS(Domain Name System) 메시지 구조 중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플래그 필드는 8개의 서브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설명이 해당되는 서브 필드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9%
| <문제 해설> QR(1Bit)_Query/Response 메세지 종류: 0=요청(Query), 1=응답(Response)
RA(1Bit)_Recursion Available 해당 DNS 서버가 DNS 클라이언트의 반복 쿼리 요청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응답 메시지에서 사용됨
AA(1Bit)_Authoritative Answer. 응답하는 서버가 해당 도메인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네임 서버임을 의미하며 응답 메시지에서 사용됨
RD(1Bit)_Recursion Desired. 질의에 대한 응답 결과를 얻을 때까지 DNS 서버가 반복 쿼리를 수행하도록 요청함을 의미하며 요청 메시지에서 사용됨
opcode(4Bit) 질의/응답 종류:0=표준조회, 1=역조회, 2=서버 상태 요청 TC(1Bit)_Truncated. 응답의 크기가 UDP 최대 크기인 512 바이트를 초과하여 512 바이트로 잘렸음(fragmentation)을 나타냄 Z(Zero)(3Bit) 예약 필드로 000으로 지정됨 rcode(4Bit)_Return code. 0=에러 없음, 1=양식오류, 2서버실패, 3=이름에러, 4=구현되지 않음, 5=거절, 6-15=추후 사용
[해설작성자 : 박정민] |
|
22. | 인터넷 응용서비스 중 가상 터미널(Virtual Terminal) 기능을 갖는 것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3%
|
23. | 문자 위주의 전송에서 투명한 데이터의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제어 문자로 옳은 것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4%
| <문제 해설> 프로토콜의 전송방식 - 문자(Character)방식 : 전송 데이터의 처음과 끝에 동기를 위한 특수문자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식 DLE(Data Link Escape) : 다른 제어문자와 조합하여 의미 바꿈 STX(Start of Text) : 텍스트 시작(본문시작) SYN(SYNchronous idle) : 동기문자 [해설작성자 : 박정민] |
|
24. |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에서 링크 구성 방식에 따른 세 가지 모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5%
|
25. | 대역폭(bandwidth)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
다. | 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 사이 간격을 의미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
26. | 통신망의 체계적인 운용 및 관리를 위한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의 기능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가. | Network Management Layer |
다. | Element Management Layer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2%
|
가. | WAN은 국가망 또는 각 국가의 공중통신망을 상호 접속 시키는 국제정보통신망으로 설계 및 구축, 운용된다. |
나. | LAN은 사용자 구내망을 구축되며, 제한된 영역에서의 구내 사설 데이터 통신망으로 운영될 수 있다. |
다. | LAN의 대표적인 예로는 일반 음성 전화망인 PSTN, 종합 정보통신망인 ISDN 등이 있다. |
라. | WAN은 공중 통신망 사업자가 구축하고, 일반 대중 가입자들에게 보편적인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
28. | 인터넷상에 전용 회선과 같이 이용 가능한 가상적인 전용회선을 구축하여 데이터를 도청당하는 등의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통신 규약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2%
|
29. | 데이터 전달을 위한 회선 제어 절차의 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가. | 데이터 링크 확립 → 회선 연결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링크 해제 → 회선 절단 |
나. | 회선 연결 → 데이터 링크 확립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링크 해제 → 회전 절단 |
다. | 데이터 링크 확립 → 회선 연결 → 데이터 전송 → 회선 절단 → 데이터 링크 해제 |
라. | 회선 연결 → 데이터 링크 확립 → 데이터 전송 → 회선 절단 → 데이터 링크 해제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3%
|
30. | OSI 7계층 중 링크설정 및 해제, 흐름 제어와 오류제어 등을 담당하는 계층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
31. | 다음의 트리에 대하여 inorder 방법으로 traverse 한 결과는? |
 가. | 1, 2, 4, 8, 5, 3, 6, 9, 10, 7 |
나. | 8, 4, 5, 2, 9, 10, 6, 7, 3, 1 |
다. | 1, 2, 3, 4, 5, 8, 6, 7, 9, 10 |
라. | 8, 4, 2, 5, 1, 9, 6, 10, 3, 7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1%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3%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
34. | 데이터베이스의 3계층 스키마 중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
가. | 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나. |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다. | 물리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 |
라.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5%
|
37. | 트랜잭션의 연산은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든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는 트랜잭션의 특성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9%
|
38. | 색인 순차 파일의 색인 구역으로 옳은 것은? |
나. | 트랙 색인, 마스터 색인, 오버플로우 색인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1%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6%
|
40. | 해싱 기법에서 동일한 홈 주소로 인하여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3%
|
 라. |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9%
|
42. | 보조기억장치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 중앙처리장치와 직접 자료 교환이 불가능하다. |
나. | 접근 시간(access time)이 크다. |
다. |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DMA 방식을 사용한다. |
라. | CPU에 의한 기억장치의 접근 빈도가 높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9%
|
43. | 피연산자의 위치(기억 장소)에 따라 명령어 형식을 분류할 때 instruction cycle time이 가장 짧은 명령어 형식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
44. | 4비트의 데이터 비트와 1비트의 패리티 비트가 사용되는 경우 몇 개 비트까지 에러를 검출할 수 있는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0%
|
46. | flynn의 분류법 중 여러 개의 처리기에서 수행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은 각기 다르나 전체적으로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가지는 형태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
47. | 주소 설계시 고려해야 할 점이 아닌 것은? |
가. | 주소를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
나. | 주소 공간과 기억 공간을 독립시킬 수 있어야 한다. |
다. | 전반적으로 수행 속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라. | 주소 공간과 기억 공간은 항상 일치해야 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1%
|
48. | 주기억장치는 하드웨어 특성상 주기억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전달 능력에 한계가 있는데, 이 한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
라. | 주기억장치 정보 전달폭(transferwidth)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4%
|
49. | 사용자 프로그램에 할당된 영역이 EC00h - FFFFh일 경우 사용 사능한 크기는 모두 몇 KByte인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2%
|
50. | 다음 소자 중에서 ROM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며, AND array와 OR array로 구성된 것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
51. | 데이터의 주소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할 때 계산에 의한 주소는 어디에 해당하는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2%
|
52. | 기억장치의 용량이 1M워드(word)이고 1워드가 32비트인 경우 PC(Program counter), MAR(memory address register). MBR(memory buffer register)의 각 비트수는? |
가. | PC : 20비트, MAR : 20비트, MBR : 32비트 |
나. | PC : 20비트, MAR : 32비트, MBR : 32비트 |
다. | PC : 30비트, MAR : 20비트, MBR : 20비트 |
라. | PC : 32비트, MAR : 32비트, MBR : 20비트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4%
|
53. | 메모리 인터리빙(interleaving)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 단위 시간에 여러 메모리의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
나. | 캐시 기억장치, 고속 DMA 전송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
다. | 기억장치의 접근시간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
라. | 각 모듈을 번갈아 가면서 접근(access)할 수 있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3%
|
54. | 명령문 구성 형태 중 하나의 오퍼랜드가 누산기 속에 포함된 명령 형식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
55. | 순서 논리 회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가. | 순서 논리 회로는 논리 게이트 외에 메모리 요소와 귀환(feedback) 기능을 포함한다. |
나. | 순서 논리 회로의 출력은 현재 상태의 입력상태와 전상태에 의해 결정되며 회로의 동작은 내부 상태와 입력 들의 시간 순차에 의해 결정된다. |
다. | 순서 논리 회로의 출력은 입력 상태와 메모리 요소들의 상태에 따라 값이 결정되므로 언제나 일정한 값을 갖지 않는다. |
라. | 순서 논리회로는 현재 상태가 다음 상태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논리 회로로서 플립플롭, 패리티 발생기, 멀티플렉서 등이 있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4%
|
56.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가.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CPU 내의 레지스터들과 연상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
나. | 프로그램에 의한 명령의 수행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수행으로 이루어진다. |
다.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중에 CPU 내부의 연산 레지스터, 인덱스 레지스터는 프로그램으로 레지스터의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 |
라.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실행될 때마다 CPU 내부의 상태는 변하게 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
57. | 다음과 같은 마이크로 동작은 어떤 명령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것인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9%
|
58. | 다음 중 2의 보수(2's complement) 가산 회로로서 정수 곱셈을 이용할 경우 필요 없는 것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6%
|
59. | 연산 명령 자체로 특수한 곱셈과 나눗셈을 수행하거나 혹은 곱셈과 나눗셈에 보조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9%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5%
|
61. | 다음의 운영체제 운용 기법 중 라운드 로빈(Round Robin) 방식과 가장 관계되는 것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2%
|
62. |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
63. | 세그먼테이션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 각 세그먼트는 고유한 이름과 크기를 갖는다. |
다. | 프로그램을 일정한 크기로 나눈 단위로 세그먼트라고 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
가. | 실행 환격을 공유시켜 기억장소의 낭비가 줄어든다. |
다. | 하나의 프로세스를 여러 개의 스레드로 생성하여 병행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
65. | 프로세서의 상호 연결 구조 중 하이퍼 큐브 구조에서 각 CPU가 4개의 연결점을 가질 경우 CPU의 총 개수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
66. | 3개의 페이지를 스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가 있으며, 초기에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의 순서로 페이지가 참조가 발생할 때,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몇 번의 페이지 결함이 발생하는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4%
|
67. | 다중 처리기 운영체제 현태 중 주/종(Master/Slave) 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나. | 주 프로세서가 고장이나면 시스템 전체가 다운된다. |
다. | 하나의 프로세서를 주 프로세서로 지정하고, 다른 처리기들은 종 프로세서로 지정하는 구조이다. |
라. | 주 프로세서와 종 프로세서가 모두 입출력을 수행하기 때문에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4%
|
68. | 프로세스(Process)에 대한 옳은 설명 모두를 나열한 것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0%
|
70. | 주기억장치 관리기법 중 Worst-fit을 적용할 경우 8K의 프로그램이 할당될 영역으로 옳은 것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3%
|
71. | UNIX 파일 시스템의 inode에서 관리하는 정보가 아닌 것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
72. | HRN 방식으로 스케줄링 할 경우, 입력된 작업이 다음과 같을 때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4%
|
73. | 워킹 셋(Working Se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 프로세스가 실행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이 변화하기 때문에 워킷 셋은 시간에 따라 바뀌게 된다. |
나. | 프로그램의 구역성(Locality)특징을 이용한다. |
다. | 워킹 셋에 속한 페이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스의 기억장치 사용은 안정상태가 된다. |
라. | 페이지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과 프로세스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0%
|
74. | 분산 운영체제 구조 중 다음의 특징을 갖는 것은? |
 나. | 다중접근 버스 연결구조(MULTI ACCESS BUS)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
75. | UNIX에서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명령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5%
|
76. | 다음과 같은 접근제어 행령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단, E : 실행가능, R : 판독가능, W : 기록가능, NONE : 모든 권한 없음) |
 가. | 김영수는 인사와 급여파일을 판독하고 기록할 수 있다. |
나. | 이길동은 인사와 급여파일을 판독할 수 있다. |
라. | 이길동은 인사파일에 대하여 실행, 판독, 기록의 권한을 가지고 있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5%
|
77. | UNIX에 대한 옳은 설명 모두를 나열한 것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
78. | 운영체제의 목적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
79. | 운영체제에 대한 옳은 설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1%
|
80. | 프로세스 제어블록(Process Control Bloc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
나. | 프로세서의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
다. |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는 PCB를 공유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
81. | 메인루틴에서 서브루틴 종류 후 다시 메인루틴으로 돌아올 수 있는 이유는? |
가. | 서브루틴 호출시 파라미터로 전달해 주기 때문에 |
나. | 서브루틴 호출시 CALL 명령에 다음의 메모리 주소를 누산기에 저장하기 때문에 |
다. | 서브루틴 호출시 CALL 명령어 다음의 메모리 주소를 큐에 저장하기 때문에 |
라. | 서브루틴 호출시 CALL 명령어 다음의 메모리 주소를 스택에 저장하기 때문에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
82. | 다음 중 별도의 제어기를 필요로 하는 I/O 방식은? |
라. | Program controlled I/O 방식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
83. |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 내에서 동일한 부분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불편을 없애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세서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9%
|
84. | 동기식 비트 직렬 전송의 동작 순서로 옳은 것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5%
|
85. | 각 데이터(data)의 끝 부분에 특별한 체크 바이트(byte)가 있어 에러(error)를 찾아내는 방법은? |
라. | cyclic redundancy check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6%
|
86. | IOP(Input-Output Processor)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 IOP는 여러 주변장치와 memory 장치 사이의 data 전송을 휘한 통로를 제공한다. |
나. | 주변장치의 data 형식은 memory와 CPU의 data 형식이 같기 때문에 IOP눈 이를 재구성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data를 전송시킬수 있다. |
다. | CPU는 IOP 동작을 시작하게 하는 일을 맡고 있으나 CPU에 의해서 개시된 입력명령은 IOP에서 실행된다. |
라. | data가 전송되고 있는 동안 IOP는 발생하는 모든 error의 상태를 알리는 status word를 준비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3%
|
87. | 응용 프로그래머를 위해 미리 프로그램 업체에서 제공하는 작업용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
88. | 조건부 분기명령의 실행에서 수행되어야 할 다음 명령어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어느 레지스터의 내용을 조사하는가? |
가. | 인덱스 레지스터(Index Register) |
나. |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 |
다. | 명령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 |
라. |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emory Address Register)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
89. | 논리 블록간의 프로그램 가능 논리 교환 기능을 가진 SPLD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전기적 소거 및 르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기억장치(EEPROM)나 플래시 메모리, 정적기억장치(SRAM)를 사용하는 것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1%
|
90. | 매크로(macro)의 설명과 관계 없는 것은? |
가. | 매크로는 일종의 폐쇄적 서브루틴(closed subroutine)이다. |
나. | 매크로 호출은 매크로 이름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
라. | 매크로 확장(macro expansion)은 언어 번역 전에 행해진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9%
|
91. | 다음 마이크로 오퍼레이션과 관련 있는 것은?(단, EAC : 끝자리 올림과 누산기, AC : 누산기)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1%
|
92. | 다음은 어떤 입출력 방식에 대한 설명인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
93. |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나. | 메모리 접근 횟수를 줄이기 위해 많은 수의 레지스터를 사용한다. |
다. | 빠른 명령어 해석을 위해 고정 명령어 길이을 사용한다. |
라. | 비교적 전력 소모가 작기 때문에 임베디드 프로세서에서도 채택되고 있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7%
|
94. | CPU에서 연산시 한 개의 오퍼랜드(Operand) 역할을 하고, 연산의 결과가 저장되는 레지스터는? |
다. | 프로그램 계수기(Program Counter) |
라. | 명령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9%
|
95. | 양극성 소자(bipolar)로 마든 비트 슬라이스(bit-slice)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장점과 단점이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
96. |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interface)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라. | 입력된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1%
|
97. | 50개의 입출력 외부 장치를 주소지정 하려고 한다. 최소 몇 개의 어드레스 선이 필요한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
98. | dynamic RAM과 static RAM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가. | DRAM은 SRAM보다 일반적으로 기억 용량이 크다. |
나. | DRAM은 SRAM보다 일반적으로 전력 소모가 크다 |
다. | DRAM은 일정 시간 내에 한 번씩 refresh 해야 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
99. | 자료전송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 비동기 전송에서는 문자와 문자 사이 시간 간격은 일정하지 않다. |
나. | 비동기 전송에서는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가 필요하다. |
다. | 동기 전송에서는 송신 측과 수신 측의 클록에 대한 동기가 필요하다. |
라. | 동기 전송은 1200 bps(bit per second) 이하의 통신 선로에 적합하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
100. | 기억장치 사상 입출력(memory mapped I/O)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가. | 입출력 전용 명령어를 사용하므로 프로그램 길이가 짧아진다. |
나. | 입출력 장치의 개수와 관계없이 기억장치 주소 강간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다. | 프로그램에서 입출력과 기억장치 접근이 쉽게 구별 된다. |
라. | 입출력과 기억장치 접근을 구별하는 제어신호가 없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9%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 및 CBT 2014년03월02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