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 자동접속기 : 다운로드 , 필기 기출문제(HWP파일) : [다운로드]
전자문제집 CBT란?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실제 시험 프로그램 방식입니다.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 및 CBT 2002년08월31일
1. | 시분할(Time-Sharing) 운영체제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 |
1. |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적재한다. |
2. | 여러 프로세스가 CPU를 나누어 사용한다. |
4. | 사용자 입장에서는 평균적인 응답시간이 향상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2. | 운영체제의 유형 중 작업 처리의 지연 없이 즉각적으로 처리하는 형태를 말하는 것은? |
3. | 실시간 처리(Real Time Processing)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 | GPL이 표방하는 자유와 관계가 적은 것은? |
1. | 어떠한 목적을 위해서라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자유 |
2. | 프로그램의 작동원리를 연구하고, 이를 자신의 필요에 맞게 변경시킬 수 있는 자유 |
3. |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고 이를 전체의 이익을 위해 다시 환원시킬 수 있는 자유 |
4. | 프로그램을 복제하고 배포하여 정당한 이익을 취할 수 있는 자유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 | 다음 중 배포판의 종류라고 할 수 없는 것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 | 소스를 볼 수는 있지만 마음대로 고칠 수는 없다. |
4. | Linus Torvalds가 커널을 개발했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 | 다음 중 주변장치 인터페이스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 |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
2. |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3. |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
4. |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 | 다음은 ext2 파일 시스템의 슈퍼블록(Super Block)에 대한 내용이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
 1. | (가) : 개정 레벨, (나) : 블록 그룹 번호 |
2. | (가) : 개정 레벨, (나) : 최대 마운트 횟수 |
3. | (가) : 매직 넘버, (나) : 블록 그룹 번호 |
4. | (가) : 매직 넘버, (나) : 최대 마운트 횟수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8. | LILO의 설정파일인 lilo.conf의 내용 중 부팅 디폴트 라벨을 바꾸기 위해 수정해야 하는 항목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 | X protocol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
1. | X 윈도우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자원을 제공한다. |
2. |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를 출력 장치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
3. | X 서버와 X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기본 메시지이다. |
4. | 화면에 그림을 그리고 마우스에 반응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0. | X 윈도우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
1. | 모든 종류의 에플리케이션과 유틸리티에 대해, GUI를 사용할 수 있는 기본 플랫폼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다. |
2. | X 윈도우 시스템은 1984년 Athena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MIT에서 최초로 개발되었다. |
3. | 클라이언트/서버, X protocol, Xlib, Xtoolkit 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
4. | KDE, GNOME, Window Maker, fvwm 등이 대표적인 윈도우 매니저이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1. | 메타 문자를 사용한 명령 rm [A-Z]?[0-9]에 의해 삭제되는 파일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2. | 하위 디렉토리 개수를 표시해 주는 명령은? |
3. | ls -l | grep "^d" | wc -c |
4. | ls --color=blue | wc -l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3. | "시스템 부팅 과정의 마지막에 수행되어 /etc/inittab 파일을 읽어 시스템의 런 레벨(Run Level)을 결정한다." 다음은 어떤 명령어에 대한 설명인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4. |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
1. | SPN(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은 준비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총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부터 스케줄링하는 기법으로, 시스템 내에 대기하는 프로세스들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2. | 비선점 스케줄링 기법은 수행중인 프로세스가 스스로 자원을 반납할 때까지 프로세서를 포함한 모든 할당된 자원의 소유권을 계속 유지시키는 것으로, 응답 시간의 예측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
3. | FIFO(First In First Out) 스케줄링은 가장 간단한 스케줄링 기법으로서, 일단 하나의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차지하면 그 프로세스가 완료 될 때까지 실행되는 비선점 방식의 스케줄링 기법이다. |
4. | RR(Round-Robin) 스케줄링 기법은 선점기법으로 구현한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대화식 시분할 시스템이나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 적합하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 | PID는 프로세스를 구분하는 번호로 커널에서는 멀티태스킹 작업에 이용된다. |
2. | 프로세스의 상태는 크게 활동상태(Active)와 지연상태(Suspended)로 나뉜다. |
3. | PCB는 /proc 영역에 위치하며 프로세스 정보를 유지한다. |
4. |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스케쥴링이 필요하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6. | OSI 7 계층(Layer) 중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경로 선택 및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7. | 네트워크 용어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1. | Token Ring : 10Mbps이상의 속도를 보장하는 고속 데이터망으로, 노드(Node)가 늘어나면 속도 저하가 심하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
2. | WAN : 근거리 통신망이 여러 개 모여 이루어진 고속 전송이 가능한 전용 회선으로, 각 노드간의 연결은 지점간 접속(Point to Point) 방식을 사용한다. |
3. | Ethernet : 4∼16Mbps의 전송 속도를 지니며, 노드(Node)가 늘어나더라도 속도 저하가 거의 없는 것을 장점으로 한다. |
4. | ISDN : 디지털 데이터를 53 바이트씩 나누어, 디지털 신호 기술을 사용한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용접속 스위칭 기술이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8. | 로컬 호스트에서 192.168.0.1과 같은 IP 주소를 이용하면 타 호스트에 접근할 수 있지만, e x a m .ih d .o r .k r과 같은 호스트 이름으로는 접근할 수 없을 경우 고쳐주어야 할 파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2. | /etc/sysconfig/networks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9. | ifconfig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네트워크 설정을 할 수 있다. |
2. | ifconfig 명령에 의한 설정은 재부팅 시 다시 적용되지 않는다. |
3. | IP Address, MAC Address, Netmask 등을 설정할 수 있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20. | 다음은 ifconfig 명령으로 알아본 eth1의 정보이다. 이에 대한 해석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
 1. | 보낸 패킷의 수는 32919 이고, 받은 패킷의 수는 17360 이다. |
2. | MAC Address는 00:4F:4E:05:B8:32 이고, IP Address는 192.168.0.1 이다. |
3. | eth1이 사용하는 I/O Address는 0xf00이고, IRQ는 5이다. |
4. | NetMask는 255.255.255.0 이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21. | 다음은 어떤 명령어의 manual page 내용 중 일부분이다. 아래 내용에 적합한 명령어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22. | 리눅스 시스템의 보안 정책 중 /etc/passwd 파일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일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23. | 다음 중 슈퍼 유저인 root 가 사용자 패스워드를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24. | 아래와 같은 명령이 root에 의해 실행된 후, 생성된 ihd 사용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 UID는 600 이며, GID가 400, 410 인 그룹에 속하게 된다. |
3. | 로그인 후 기본적으로 사용될 쉘은 csh 이다. |
4. | ihd 계정은 발급된 후, 6일이 지난 이후부터 사용 가능하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25. | /etc/skel 디렉토리가 아닌 /root/skel 디렉토리의 환경설정 파일들을 이용하여 ihd 라는 계정을 생성하려고 한다. 이 때 사용할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
1. | adduser -m -k /root/skel ihd |
2. | adduser -c /root/skel ihd |
3. | adduser -e /root/skel ihd |
4. | /etc/skel 디렉토리 이외의 것은 환경 설정으로 사용할 수 없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26. | 명령어의 사용법과 의도가 잘못 기술된 것은? |
1. | mkfs -t ext2 /dev/fd0 1440 : 플로피상에 ext2 파일시스템을 만든다. |
2. | fsck -t ext2 /dev/hda2 : /dev/hda2 상의 ext2 파일시스템을 점검한다. |
3. | mkswap -c /swap 8192 : /swap이라는 이름으로 8KB의 스왑(Swap) 공간을 만든다. |
4. | mount -t iso9660 -r /dev/cdrom /mnt : CD-ROM 드라이브를 /mnt에 마운트 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27. | 속성이 아래와 같은 파일에 chmod 644 a.out 과 chown ihd a.out 명령을 연속적으로 실행 했을 때, 변경된 속성으로 알맞은 것은? |
 1. | -rw-r--r-- 1 ihd root .... a.out |
2. | -rwxrw-rw- 1 ihd root .... a.out |
3. | -rw-r--r-- 1 ihd ihd .... a.out |
4. | -rwxrw-rw- 1 ihd ihd .... a.out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28. | quota 설정 시 각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을 가리키며, 유예기간(grace period)까지는 사용 용량 초과에 대하여 경고를 받게 되는 경계선 역할을 하는 옵션은 무엇인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29. | 다음 중 fsck 명령어가 검사하지 않는 항목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0. | 마운트하여 사용하던 CD-ROM을 언마운트 하였더니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되었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적합한 것은? |
 1. | CD-ROM 안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이 일부 손상되었기 때문이다. |
2. | CD-ROM 드라이브를 커널에서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
3. | CD-ROM 드라이브 안에 CD가 들어있지 않아서 나타나는 메시지이다. |
4. | CD-ROM을 사용중인 프로세스가 있기 때문이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1. | ps -u 명령에 의해 화면에 출력된 필드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2. | inittab 파일은 id:run-levels:action:process 와 같은 일정한 형식을 가지고 있다. 이 중 action 조건에 올 수 있는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
1. | wait : 프로세스를 실행한 후 다음 줄의 엔트리로 가지말고, 실행한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라는 의미이다. |
2. | respawn :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다시 실행시키라는 의미로, 주로 getty 등의 프로세스들이 이에 해당한다. |
3. | initdefault : 디폴트 실행수준을 지정하겠다는 의미이다. |
4. | off : 실행중인 프로세스라면 실행하지 말고, 실행되고 있지 않다면 단지 한번만 실행 시키라는 의미이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3. | ps -ax 명령 실행 시 TTY 필드에 출력된 ? 문자의 의미로서 가장 알맞은 것은? |
2. | 로그인 전에 init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되어 터미널을 할당받지 못한 프로세스임을 의미 한다. |
4. | 아직 실행중이나 곧 종료될 프로세스임을 의미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4. | Run Level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 | Run Level 0 : shutdown -h now 명령으로 진입하게 된다. |
2. | Run Level 2 : 다중 사용자 모드로 NFS를 지원한다. |
3. | Run Level 3 : 다중 사용자 모드로 텍스트 콘솔로 로그인을 하며, 각종 네트워크 서비스가 가능하다. |
4. | Run Level 5 : Run Level 3과 동일한 기능을 하며, Windows 계열 운영체제처럼 GUI 환경으로 로그인하게 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5. | 프로세스의 실행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
1. |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는 중지시킬 수 없다. |
2. | 프로세스가 포그라운드로 실행되는 동안은 터미널에서 입력 작업을 할 수 없다. |
3. |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려고 할 때에는 명령의 끝에 메타 문자인 '&' 를 추가한다. |
4. | 포그라운드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는 Ctrl+C나 kill 명령으로 중지시킬 수 있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6. | 다음 중 C 프로그램의 #define 지시어의 처리와 관련이 있는 것은? |
1. | /usr/lib/gcc-lib/i386-linux/2.7.2.1/cc1 |
2. | /usr/lib/gcc-lib/i386-linux/2.7.2.1/cpp |
3. | /usr/lib/gcc-lib/i386-linux/2.7.2.1/libgcc.a |
4. | /usr/lib/gcc-lib/i386-linux/2.7.2.1/specs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7. | tar cvfz total.tar.gz * 명령의 의미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
1.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total.tar.gz 이름으로 묶음과 동시에 압축을 실행한다. |
2. | total.tar.gz 파일을 현재 디렉토리에 푼다. |
3.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total.tar.gz 이름으로 묶는다. |
4. | total.tar.gz 파일을 * 이름으로 압축한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8. | 다음은 makefile 파일의 내용 중 일부이다. make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실행되지 않는 부분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9. | rpm 명령을 이용하여 ftp서버(192.168.0.1)의 /pub 디렉토리에 있는 mc-4.5.42-10.i386.rpm 패키지를 설치하고자 한다. 이 때 사용할 명령으로 올바른 것은? |
1. | rpm -f ftp://192.168.0.1/pub/mc-4.5.42-10.i386.rpm |
2. | rpm -t ftp://192.168.0.1/pub/mc-4.5.42-10.i386.rpm |
3. | rpm -i ftp://192.168.0.1/pub/mc-4.5.42-10.i386.rpm |
4. | rpm -ftp ftp://192.168.0.1/pub/mc-4.5.42-10.i386.rpm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0. | 커널 컴파일 과정에서 사용되는 명령과 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 | make mrproper : 기존의 커널 설정 값을 초기화 시킨다. |
2. | make dep : 의존성을 검사하는 명령으로, 컴파일 할 파일과 하지 않을 파일을 결정한다. |
3. | make clean : 이전 컴파일 시 생성된 오브젝트 파일과 이전 버전 커널이 남겨놓은 것들을 삭제한다. |
4. | make install : 커널 이미지를 생성 시켜주는 명령으로, 완료 후 반드시 lilo 명령을 수동으로 실행 시켜주어야 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1. | 다음은 /etc/printcap 파일의 변수에 대한 설명이다. (가)-(나)-(다)에 들어갈 변수명으로 옳게 짝지어 진 것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2. | 다음 중 리눅스 커널이 설치되는 위치는 어디인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3. | 커널 모듈(Kernel Modu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
2. | 새로운 커널 코드를 재부팅 하지 않고서 테스트할 수 있다. |
3. | 효율성과 메모리 운영에 있어서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4. | 잘못된 모듈은 시스템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4. | 시스템 관리자 홍길동은 새로 교체한 비디오 카드에서 지원하는 프레임 버퍼 기능을 사용하려고 한다. 이를 위한 가장 적절한 조치는? |
1. | 시스템을 재부팅 한 후, XF86config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X 설정을 다시 한다. |
2. | 커널이 프레임 버퍼 기능을 지원하도록 컴파일하고, XF86config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X 설정을 다시 한다. |
3. | XF86config 유틸리티로 X 설정을 다시 한 후, Run Level을 5로 조정한다. |
4. | 윈도우용 드라이버를 리눅스에 설치한 후, XF86config 유틸리티로 X 설정을 다시 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5. |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
1. | IRQ 번호만 각각 지정해 주면, SCSI-I/II 와 Fast SCSI는 7개, Wide SCSI는 14개 까지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
2. | IBM 호환기종을 포함한 다양한 플렛폼에서 사용할 수 있다. |
3. | SCSI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은 주변장치 자체에 들어있어서 호스트 어댑터를 통해 PC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
4. | SCSI 하드디스크의 경우 IDE와 는 다른 채널 방식으로 , 디스크 여러 곳에서 동시에 액세스하여도 속도 저하가 크게 일어나지 않는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6. | 새로 설치한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명령어가 아닌 것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7. | 프린터 제어와 관련된 명령어가 아닌 것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9. | module.conf 파일 안에 설정될 내용으로 옳지 못한 것은? |
1. | alias usb-controller usb-uhci |
4. | alias parport_lowlevel parport_pc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50. | 다음 중 마우스 설정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51. | 운영체제에서 보내주는 실시간 로그가 기록되는 message 파일이 일반적으로 저장되는 위치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52. | syslog 데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 | 시스템 로그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로부터의 시스템 접근을 막을 때 이용한다. |
3. | service syslog start 명령으로 데몬을 실행시킬 수 있다. |
4. | sendmail로 발송된 전자 우편에 대한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53. | 시스템 부팅 시 sendmail 데몬의 실행여부에 대한 기록을 볼 수 있는 로그파일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54. | secure 로그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
1. | Telnet을 이용한 원격지 접속자의 정보가 기록된다. |
2. | 가장 관계가 밀접한 데몬은 xinetd(inetd)이다. |
3. | 웹서버 접속자에 대한 서비스 내용이 기록된다. |
4. | 관리자가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55. | 파일 및 파일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 | 사용자의 파일 생성 umask를 제한된 값으로 조절한다. |
2. | 보호되어야 할 파일을 위해서 특수비트인 변경불가비트(Immutable Bit)를 사용한다. |
3. |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SUID/SGID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4. | 일반사용자가 자신의 권한을 바꿀 수 있도록 설정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56. | 시스템 보안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57. | IPChain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 커널 2.2.x 이상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
2. | 리눅스 시스템을 통과하는 패킷을 제어할 수 있다. |
3. |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IPTable과 병행 되어야 한다. |
4. | TCP, UDP 포트 등으로의 연결에 대한 접속 허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 | 클러스터링 시스템에서 각 노드의 저장 장치 내용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기능 |
3. | 복수 시스템들 간의 변경된 파일 만 동기화 하는 기능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1. | 동적인 웹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는 스크립트 언어인 PH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 | Windows의 ASP와 같은 역할을 한다. |
3. | Windows 계열의 운영체제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
4. | 속도, 개발 편의성, 여러 가지 확장 기능이 뛰어나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2. | 아파치 환경 설정 파일인 httpd.conf에서 아래의 설정이 뜻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
 1. | 한번의 GET 요청에 대한 타임아웃 시간을 정해주는 부분으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정보를 받을 때까지 소요되는 대기시간의 최대 값을 뜻한다. |
2. |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 후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시간으로, 다음 요청에 대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3. | 하나의 지속적인 접속 동안 허용할 최대 요청 횟수를 지정하는 것이다. |
4. | 동일한 접속 상태에서 동일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다음 요청을 기다리는 시간으로, 지정된 시간동안 요청을 하지 않으면 접속을 끊는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3. | 다음은 CGI가 동작하는 과정을 순서 없이 나열한 것이다.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을 고르시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4. | 다음 중 SS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의해 최초로 개발되었다. |
2.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의 인증과 암호화된 통신을 위하여, 웹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3. | SSL 프로토콜은 HTTP나 IMAP과 같은 상위 레벨의 프로토콜과 TCP/IP층 사이에서 작동된다. |
4. | 서버의 인증서와 공개 ID를 체크하기 위하여 공개키 암호화의 표준 기술을 사용한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5. | 하나의 IP 주소로 운영하는 아파치 웹 서버에 여러개의 도메인을 가지고 각각의 홈페이지를 운영하고자 한다. 이 때 필요한 작업이 아닌 것은? |
1. | NameVirtualHost 지시자에 사용하고자 하는 IP 주소를 설정한다. |
2. | <VirtualHost> ... </VirtualHost> 컨테이너 안의 ServerName 지시자에 도메인을 설정한다. |
3. | Listen 지시자에 홈페이지에서 사용할 도메인을 모두 설정한다. |
4. | 하나의 홈 페이지에 두 개 이상의 도메인을 이용하여 접속하기 위해서는 ServerAlias 지시자를 사용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6. | 인터넷과 웹의 핵심에는 TCP/IP, HTTP 등의 공개 프로토콜이 자리 잡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개 프로토콜이란, 사용하거나 구현하는데 있어 전혀 비용이 들지 않는 완전한 명세를 공개적으로 구할 수 있는 프로토콜임을 의미 한다. 다음 중 이러한 공개 프로토콜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
1. | 일반적으로 폐쇄 프로토콜에 비해 확산 속도가 빠르다. |
2. | 공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해당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용을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 |
3. | 폐쇄 프로토콜에 비해 최종 사용자에게 더 많은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다. |
4. | 집중화된 제어로 인해 호환되지 않는 다른 프로토콜들로 나뉘어 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7. | 아파치 웹 서버에서 CGI를 사용하려고 한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
1. | CGI를 사용한다는 것은 웹 서버에서 준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동적으로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보여줌을 뜻한다. |
2. | 확장자가 cgi 로 끝나는 스크립트를 CGI 형태로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설정파일에 [AddHandlercgi-script.cgi]와 같은 설정이 필요하다. |
3. | CGI 프로그램을 저장할 디렉토리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설정파일에 [ScriptAlias /cgi-bin/ /usr/local/apache/cgi-bin ]와 같은 설정이 필요하다. |
4. | CGI를 사용하는 디렉토리에 대하여 설정파일의 해당 디렉토리 컨테이너에 [Options RunCGI]와 같은 설정이 필요하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8. | 웹 서버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 | 가능한 모든 페이지를 정적인 HTML 보다 동적으로 구성되는 컨텐츠로 통합하여 서비스한다. |
2. | 아파치 웹 서버의 경우 ServerType 지시자를 standalone으로 설정한다. |
3. | 웹 서버에서 DNS 역검색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9. | Apache 1.3과 PHP 3.2를 사용하여 운영해오던 웹 서버에서 PHP를 4.1로 업그레이드 한 후, 이전 버전에서는 문제가 없던 <form>문을 통한 변수를 받아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알맞은 것은? |
2. | php.ini에서 safe_mode를 off한다 |
3. | php.ini에서 register_globals를 on한다 |
4. | php.ini에서 enable_dl을 on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0. | ProFTPd 설정 파일에서 FTP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자신의 홈 디렉토리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지시자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1. | 다음 중 일반적으로 FTP 관련 로그가 저장되는 파일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2. | ProFTPd 설정 파일에서 쓰이는 지시자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 | ServerType : FTP 서버를 standalone 방식으로 운영할 것인지, inetd 방식으로 운영할 것인지를 지정한다. |
2. | RequireValidShell : FTP 서버에 접속 시 사용할 쉘(Shell)을 지정한다. |
3. | TimeoutIdle : 접속 대기시간을 설정하는것으로, 접속 후 지정한 시간이상 아무런 동작이 없으면 접속을 종료시킨다. |
4. | DisplayLogin : 사용자가 FTP 서버에 로그인 시 보여줄 메시지를 저장하는 파일을 지정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3. | 삼바(Samba)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 | smbd 데몬은 사용자 인증과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담당하는 데몬이다. |
2. | nmbd 데몬은 WINS(Windows Internet Name Service)를 담당하는 데몬으로, 컴퓨터 이름과 IP 주소를 연결시킨다. |
3. | 삼바 서버는 동시에 WINS 서버가 될 수 없다. |
4. | SWAT은 웹을 기반으로 한 삼바 설정 도구로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편리한 입력폼을 제공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4. | NetBIOS(Network Basic Input/Output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
3. | OSI 모델에 기술되어 있는 트렌스포트 및 세션 계층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5. | 삼바의 네 가지 보안 모델에 속하지 않는 것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 | 모든 리눅스 시스템은 NFS 서버와 NFS 클라이언트로 동시에 운영될 수 있다. |
2. | NFS 서버에서 NFS 클라이언트의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여 사용한다. |
3. | 파일 시스템의 일부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etc/nfs.conf 파일에 등록해야 한다. |
4. | 일반적으로 NFS의 설정이 변경되더라도 NFS 데몬을 재시작(restart) 하거나 설정 파일을 다시 읽을(reload) 필요는 없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7. | 원격 NFS 서버인 ihd의 특정 디렉토리를 마운트 하기 위한 /etc/fstab 파일의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 |
1. | /ihd/proc /mnt/ihd nfs defaults 0 0 |
2. | ihd:/home /mnt/ihd nfs defaults 0 0 |
3. | /mnt/ihd ihd:/tmp nfs defaults 0 0 |
4. | /home:ihd /mnt/ihd nfs defaults 0 0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8. | NFS 유틸리티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
1. | showmount : NFS 마운트 정보를 보여준다. |
2. | nfsstat :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여준다. |
3. | nfsstart : NFS 서비스를 시작한다. |
4. | nhfsstone : NFS의 성능을 벤치마크 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9. |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 | TCP/IP 응용계층 프로토콜의 하나이다. |
2. | 아직까지는 텍스트 문서만 전송이 가능하고, 그림이나 소리는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없다. |
3. | 인터넷에서 전자우편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80. | Sendmail의 Virtual Host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
1. | virtusertable 파일은 편집 후 makemap 명령을 이용하여 변경사항을 갱신하여야 한다. |
2. | virtusertable 파일을 이용하여 가상 사용자를 설정할 수 있다. |
3. | 특정 이메일 주소로 전달되는 전자 우편을 원하는 다른 이메일 주소로 포워딩할 수도 있다. |
4. | 하나의 계정에 대하여 서로 다른 이메일 주소를 중복해서 만들 수 없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81. | 다음은 sendmail의 access 설정 파일의 내용 중 일부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
 1. | 211.202.42.X의 IP 주소를 가진 시스템의 메일 중계를 허용하고 있다. |
2. | 211.203.42.X의 IP 주소를 가진 시스템의 메일 중계를 거부하고 있다. |
3. | access 파일에는 IP 주소만 기입해야 하므로 ihd.or.kr 부분은 잘못된 설정이다. |
4. | 위와 같이 access 파일을 편집하였다면 반드시 makemap 명령을 이용하여 변경된 내용을 갱신하여야 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82. | 다음의 프로그램 중 성격이 가장 다른 하나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83. | sendmail의 alias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 사용자들에게 정상 이메일 주소 이외에 다른 이름을 부여해줄 수 있다. |
3. | 수신된 메일 메시지와 이를 처리하는 외부 프로그램을 연계시켜줄 수 있다. |
4. | 특정 호스트로부터 보내진 메일을 거부할 수 있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84. | 운영하고 있는 메일서버의 이름은 mail.ihd.or.kr 이지만, 수신측에서 발신지를 ihd.or.kr로 받게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sendmail.cf 파일의 설정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85. | 시스템 관리자 홍길동은 자신이 관리하는 리눅스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들에게 메일을 보내고자, Sendmail의 메일 Alias 설정 파일에 alluser: :include:/etc/mail/allusers 라고 설정 한 후 해당 정보를 갱신시켰다. 다음 중 위에 언급된 /etc/mail/allusers 파일을 만들기 위한 가장 적절한 명령은? |
1. | cat /etc/passwd > /etc/mail/allusers |
2. | awk -F: '$3 > 100 { print $1 }' /etc/passwd > /etc/mail/allusers |
3. | sed '$1 > 200 { print $1 }' /etc/passwd > /etc/mail/allusers |
4. | makemap hash /etc/mail/allusers < /etc/passwd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86. | 정상적인 전자우편 서비스를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가장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87. | 메일서버 관리자인 홍길동은 특정 계정으로 전송되는 메일을 모두 다른 곳으로 전달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파일이 아닌 것은?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88. | squid 설정 파일인 /etc/squid 파일의 내용 중 maximum_object_size 지시자가 뜻하는 것은? |
1. | 프락시 서버에서 사용할 포트 번호를 지정해 주는 것으로서, 기본값은 3128 이다. |
2. | 프락시 서버에서 사용할 캐쉬 크기를 지정해 주는 것으로서, 기본값은 8M이다. |
3. | 캐시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의 크기를 지정해 주는 것으로서, 기본값은 4M이다. |
4. | 디스크에 저장될 캐쉬 크기와 로그파일을 지정해 주는 부분이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89. | NIS 서비스의 설정 순서로 알맞은 것은?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0. | 다음은 DHCP 동작과정을 순서 없이 나열한 것이다.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을 고르시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1. | 클라이언트에서 IP 주소를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시키는 리졸버(resolver)가 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2.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설정 파일인 dhcpd.conf의 지시자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 subnet-mask : 클라이언트에게 할당 할 서브넷 마스크를 지정한다. |
2. | host : DHCP 서버의 IP 주소를 지정한다. |
3. | range : 할당할 수 있는 IP 주소 영역을 지정한다. |
4. | max-lease-time : 클라이언트가 할당받은 IP 주소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최대시간을 지정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3. | DHCP 클라이언트에서 DHCP 서버로부터 IP 주소를 요청하는 프로그램은?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4. | DNS 서버에서 루트 네임서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은?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5. | 사내 사용자들의 웹 응답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서비스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6. | DoS(Denial of Service) 공격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4. | 관리자의 DoS 공격에 대한 지속적이고 깊은 관심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7. |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침입 탐지 시스템)의 필요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 | 방화벽에 의해 걸러지지 않는 외부의 위험한 해킹행위가 내부 네트워크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될 때 |
2. | 침입 차단 시스템이 효과적인 차단에 실패하였을 경우, 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보안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
3. | 동시사용자의 폭주로 방화벽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는 경우가 잦아질 때 |
4. | 침입 차단 시스템을 구축하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판단 될 때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8. | 다음의 보안 권고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르지 못한 것은? |
 1. | W32.Frethem.J@mm은 웜(Worm)으로서 시스템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장소에 자기 자신을 위치시키는 바이러스나 복제 코드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
2. | W32.Frethem.J@mm은 메일로 전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3. | 메일 서버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의 방화벽은 W32.Frethem.J@mm의 경우 큰 효용성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예상을 할 수 있다. |
4. | 위의 글로 미루어보아 W32.Frethem.J@mm은 공격 패턴으로 볼 때 DoS(Denial of Service)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9. | iptables를 이용하여 외부 인터페이스인 ppp0 로부터 들어오는 telnet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으로 옳은 것은? |
1. | iptables -A INPUT -p tcp --destination-port telnet -i ppp0 -j DROP |
2. | iptables -L INPUT -p tcp -dp telnet --interfaces ppp0 -j REJECT |
3. | iptables --direction INPUT --protocol tcp --destination-port telnet --interfaces ppp0 --jump DROP |
4. | iptables --input telnet --output DROP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00. |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부의 모든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불법적인 접근도 차단 시킬 수 있는 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1. | IP 매스커레이딩(IP Masquerading) |
3. | DMZ(De-Militarized Zone) |
4. |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 및 CBT 2002년08월31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