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820369)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1. | 다음은 수미가 작성한 발표 계획이다. 대화 내용에 부합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말하기 계획 평가 [정답해설] 지현의 ‘연못 말고 다른 사례를 ~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말이야.’로 보아 원리가 적용된 사례가 제시되기는 했지만,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제시되지는 않았다.
[오답피하기] ① 경완의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라는 걸 강조하는 거야.’라는 발언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② 수미의 ‘이 현상의 원리를 설명해야겠어.’라는 발언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④ 지현의 ‘이 원리를 알아 두면 실생활에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지도 덧붙이면 좋겠어.’라는 발언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⑤ 지현의 ‘마무리할 때 친구들이 발표 내용을 잘 파악했는지 질문해서 확인해 보는 게 어때?’라는 발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2. | (나)에 반영된 것끼리 바르게 묶은 것은?(2015년 03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발표의 내용 조직 방식을 이해한다. (나)에서 학생 1은 ‘신뢰도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하는 정도입니다.’에서 핵심 개념을 정의한 후, ‘가령 유권자가 10,000명이라면~’에서 가정된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또 마지막에서 ‘저도 얼마 전까지는 ~ 생각하게 됐습니다.’에서 화자 자신이 겪었던 변화를 제시하며 ‘여러분도 저처럼 신뢰도를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시면 좋겠습니다.’에서 청자의 태도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비유적 표현으로 발표를 마무리하거나, 핵심 개념에 대한 질문을 통해 발표한 내용에 대한 청자의 이해를 점검하는 대목은 확인할 수 없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3. | <보기>는 위 토의의 「후속 토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이다. 이를 활용하여 이끌어 낼 수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2016년 04월) |
 1. | 학교 간 연합을 통해 참여 인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소수 의견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설이 가능함을 제시해야겠어. |
2. | 다양한 교육에 대한 욕구를 가진 학생들의 특성에 주목하여 학생들이 선호하는 직업군에 대한 설문 조사가 필요함을 제시해야겠어. |
3. | 학교 간 연합으로 예산 부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연계 프로그램에서 강연의 비중을 높일 수 있음을 제시해야 겠어. |
4. | 영역별 거점 학교를 선정하여 프로그램의 전문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교내에서 기존의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음을 제시해야겠어. |
5. | 학교 간 연합 프로그램이 봉사 분야에서도 운영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진로 중심 체험 프로그램에서 봉사 중심 체험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제시해야겠어.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후속 토의를 위한 자료 활용하기 학교 간 연합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적은 참여 인원으로 인해 개별 학교 차원에서는 개설하기 어려운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으므로, 학교의 여건 등으로 인해 반영되기 어려운 소수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간 연합을 통해 참여 인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소수 의견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설이 가능함을 제시해야겠다는 진술은 적절하다. ② ‘학생들이 선호하는 직업군에 대한 설문 조사가 필요함을 제시해야겠’다는 내용은 이미 ‘학생 1’이 제시한 대안이다. 따라서 후속 토의와는 관련이 없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③ ‘학생 2’는 기존의 진로 콘서트가 일방적인 강연으로 이루어져 학생들의 흥미를 끌지 못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런데 학교 간 연합으로 연계 프로그램에서 강연의 비중을 높일 수 있다고 제시하는 것은 기존의 토의 내용과도 관련되지 않고, 후속 토의의 주제에도 맞지 않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④ ‘학생 2’는 진로 콘서트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직업 현장에 찾아가 체험을 하는 연계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사회자는 연계 프로그램의 세부적 구성 방안에 대해 후속 토의를 하자고 했는데, ‘교내에서 기존의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은 후속 토의와 관련이 없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⑤ 후속 토의 주제는 진로 콘서트를 운영할 때 소수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방안과 연계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세부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인데, ‘진로 중심 체험 프로그램에서 봉사 중심 체험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내용은 후속 토의 주제와 관련이 없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4. | 위 발표 내용으로 보아, 발표를 위해 학생이 고려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
1. | 실물 자료를 제시하여 청중의 관심을 유발한다. |
2. |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관련 정보를 생생하게 전달한다. |
3. | 장점과 함께 문제점도 제시하여 균형 있는 발표가 되도록 한다. |
4. | 청중이 공유하는 경험을 환기하여 발표 내용의 이해를 돕는다. |
5. | 질문을 던져 사전 지식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발표 내용을 조절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발표 전 준비과정을 파악한다. 학생 발표의 중심 화제라고 볼 수 있는 드론 촬영의 장점이 두 번째 문단과 세 번째 문단에 항공 촬영과의 비교를 통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드론 촬영의 문제점이 제시되어 있지는 않다. 한편, 일반 항공 촬영의 문제점이 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발표 주제를 보다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제시한 것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오답풀이] ① 발표 첫 부분에 ‘실물 드론을 보여 주며’ 부분에서 청중의 관심을 유도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② 두 번째 문단 ‘두 개의 영상을 보여 준후’에서 매체를 통해 정보를 생생하게 전달함을 확인할 수 있다. ④ 세 번째 문단에서 청중들이 함께 공유했던 ‘신입생 입학식’의 경험을 환기하여 내용 이해를 돕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⑤ 두 번째 문단 첫 부분에서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들은 후 그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 드리지 않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라고 말한 부분에서 발표 내용을 조절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5. | ‘진희’가 ⓐ를 대상으로 ⓑ를 홍보하기 위해 교내 방송을 하고자 한다. <보기>와 같이 내용을 조직하여 말하고자 할 때, 각 단계에 따른 발화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
 1. | 1단계 : 여러분, 드라마 ‘○○’ 보셨죠? 주인공이 또래 친구에게 고민거리를 털어놓고 위로받는 모습이 참 인상적이지 않았나요? |
2. | 2단계 : 여러분은 고민이 있어도 부모님이나 선생님께는 말씀드리기 부담스러워 고민을 이야기하지 못한적이 있었을 겁니다. |
3. | 3단계 : 이제는 이런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말하기 힘들었던 여러분의 고민을 △△ 상담 동아리에서 또래 친구들에게 마음껏 털어놓을 수 있습니다. |
4. | 4단계 : 고민을 털어놓지 않은 채 계속 마음속에 담아두고 있으면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까지도 힘들게 만들 수 있습니다. |
5. | 5단계 : 망설이지 말고 연락하세요. 학급 게시판에서 상담가능 날짜를 확인한 후 게시판에 있는 연락처로 신청하시고, 만나서 고민을 털어놓아 보세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말하기 내용 추론 [정답해설] ⓐ의 문제 상황은 고민이 있는데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고민을 털어놓지 못하는 것이다. ‘진희’는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를 제시하고 있다. ④ 에서 언급하고 있는 내용은 문제 상황을 방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이지 <보기>의 4단계에 제시된 ‘해결 방안의 효과’가 아니다.
[오답피하기] ① 드라마에서 또래 상담과 관련된 내용을 보았는지 질문하는 것은 <보기>의 1단계에서 언급한 ‘청자의 관심을 끌 질문’으로 볼 수 있다. ② ‘여러분은 ~ 이야기하지 못한 적이 있었을 겁니다.’라고 하여 <보기>의 2단계에 제시된 것처럼 ‘문제 상황’과 청자인 ‘여러분’을 ‘연관’시키고 있다. ③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고민을 털어놓지 못하는 문제 상황에 대해 고민을 털어놓을 상담 동아리가 있다는 것은 해결 방안이 될 수 있으므로 <보기>의 3단계에 제시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해당한다. ⑤ 또래 상담을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므로 <보기>의 5단계에 제시된 ‘청자가 해결 방안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안내’하는 것에 해당한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6. | (가)와 (나)를 통해 알 수 있는 작문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5년 10월) |
1. | 글쓰기는 의미 있는 정보를 독자와 함께 나누는 활동이다. |
2. | 글쓰기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생성하는 활동이다. |
3. | 글쓰기는 화제를 바탕으로 친교적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두는 활동이다. |
4. | 글쓰기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려는 활동이다. |
5. | 글쓰기는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자신의 주장을 제시할 수 있는 활동이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작문의 특성을 이해하고 글을 쓴다. 학생은 물 발자국과 관련한 정보를 바탕으로 독자를 설득하는 목적으로 글을 썼다. 이 글은 편지글처럼 친교적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두고 쓴 글은 아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7. | <보기>의 자료를 활용하여 (나)를 보완하고자 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2016년 04월) |
 1. | (ㄱ)을 활용하여, 도시광산 산업의 원료 확보가 어렵다는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한다. |
2. | (ㄴ)을 활용하여, 대부분의 도시광산 산업 원료를 폐기물로 지정한 제도를 도시광산 산업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원인으로 추가한다. |
3. | (ㄷ)을 활용하여, 도시광산 기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한다. |
4. | (ㄱ)과 (ㄴ)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도시광산 기술 수준을 높이기 위해 관련 제도 개선이 필요함을 해결 방안으로 추가한다. |
5. | (ㄱ)과 (ㄷ)을 활용하여, 도시광산 산업이 경제적 가치를 지닌 산업이라는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자료 활용의 적절성 평가하기 (ㄱ)은 폐휴대전화의 경제적 가치와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 폐전자제품 수거량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내용의 자료이고, (ㄴ)은 폐전자제품을 폐기물로 지정한 우리나라의 제도로 인해 도시광산 산업 원료 수입과 공장 설립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ㄱ)과 (ㄴ)을 활용하여 도시광산 기술 관련 제도의 개선이 필요함을 이끌어 낼 수 없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① (ㄱ)에는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 폐전자제품 수거량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내용이 있으므로 적절하다. ② (ㄴ)에는 우리나라는 폐전자제품이 폐기물로 지정되어 있는 제도 때문에 도시광산 산업 공장 설립이 어렵다는 내용이 있으므로 적절하다. ③ (ㄷ)에는 지속적으로 투자하여 높은 수준의 도시광산 기술을 보유한 일본의 예가 있으므로 적절하다. ⑤ (ㄱ)에는 폐휴대전화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내용이, (ㄷ)에는 일본의 높은 도시광산 금 축적량에 대한 내용이 있으므로 적절하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8. | <보기>는 ‘협동 작문 과제의 초고’를 작성하기 전에 수집한 자료에 대해 모둠원들이 나눈 대화이다. ⓐ~ⓔ 중 ‘협동 작문 과제의 초고’에 활용되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자료 수집, 활용의 적절성 [정답해설] 초고에서는 텔레비전 요리 프로그램의 부정적 영향으로 상업화와 프로그램의 다양성 위축을 언급하고 있을 뿐 요리 프로그램에 심취한 시청자들이 직접 요리를 하는 것을 기피하는 부정적 행동을 보이게 되었다는 내용은 언급하고 있지 않다.
[오답피하기] ① ⓐ의 경우, ‘여러 나라의 요리에 대한 정보와 전문가의 요리 비법부터 일반인들이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요리법까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② ⓑ의 경우, ‘매일 반복되는 인간의 기본적 활동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요리를 하는 모습에서 시청자들은 친숙함을 느낀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③ ⓒ의 경우, ‘요리가 등장하는 장면은 시청자들의 시각과 미각을 자극하여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준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④ ⓓ의 경우, ‘불필요한 간접 광고의 노출이 많아지는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9. | ‘작문 일지’와 ‘학생의 글’을 고려할 때, 글을 쓰는 과정에서 선택한 방법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2013년 09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글쓰기 전략 [정답해설] ‘작문 일지’를 보면, 문화유산의 종류가 다양하여 고민하던 필자는 ‘얼마 전 거리에서 보았던 아리랑 연주 장면’을 떠올리고 아리랑을 소재로 글을 쓰기로 한다. 따라서 문화유산과 관련된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 글감을 구체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학생의 글’에서 ‘나는 지금껏 우리의 문화유산이 ~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다.’, 첫째 문단 마지막 부분의 ‘무관심했던 나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다.’, 둘째 문단의 ‘여전히 우리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또 다른 이름의 현재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등에는 문화유산에 대한 필자의 인식이 변화되는 과정이 제시되어 있다. 글의 마지막 문장에는 ‘작은 힘이라도 보태야겠다고’ 생각하는 글쓴이의 다짐이 나타나 있다. [오답 피하기] ⓑ: 문화유산의 개념이 나타나지 않았고 정의의 방식이 사용되지 않았 다. ⓒ: 아리랑 연주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제시하고 있으나,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문화유산의 현황이나 구체적으로 추가된 사례는 나타나 있지 않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10. | [A]에 들어갈 글을 작성하고자 할 때, <조건>에 따라 쓴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6년 07월) |
 1. | 꽃들도 ‘한 뼘이라도 꼭 여럿이’처럼 서로 협력하며 어려움을 견뎌 냈을 것이다. 서로를 위한 양보는 모두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인 것이다. |
2. | 꽃들도 서로 의지하며 ‘푸르게 절망을 다 덮을 때까지’ 어려움을 이겨낸 것이다. 무엇보다 삶의 다양한 가치를 아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닐까. |
3. | 꽃들도 척박한 환경이 아니라 좋은 환경에 놓였어도 함께 하는 자세가 중요했을 것이다. 아무리 좋은 여건에 놓였더라도 협력하는 자세가 중요하지 않을까. |
4. | 꽃들이 보도블록 사이에 필 수 있었던 것도 ‘꼭 여럿이 함께 손을 잡고’ 시련을 이겨 냈기 때문이다. 흩어지면 약하지만 뭉치면 단단해지는 눈 같은 협력의 힘이 어려운 상황을 이겨 내게 하는 것이 아닐까. |
5. | 꽃들이 필 수 있었던 것도 긍정적인 자세를 지니고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매우 힘들고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마음을 가질 때 햇살처럼 웃을 수 있는 밝고 희망찬 미래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조건에 따른 글쓰기 ② ⓐ의 일부를 직접 인용하며 꽃들의 상황과 연관을 지었지만, 협력에 대해 직유법을 사용하지 않았다. ⑤ 첫 번째 문장에 직접 인용이 없으며, 두 번째 문장에 직유법을 사용하였지만 협력에 대한 것이 아니다. |
|
11. | 다음의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2013년 06월) |
 1. | ㉠ : 음절 끝의 자음이 바뀌지 않는 경우는 ‘부엌, 간, 달, 섬, 창’이다. |
2. | ㉡ : 음절 끝의 자음이 예사소리일 때에는 바뀌지 않는다. |
3. | ㉢ : 음운 변동이 일어나면 ‘ㄱ, ㄹ, ㅂ’ 중 하나로 바뀐다. |
4. | ㉣ : ‘밖’과 ‘밑’을 음운 변동의 예로 추가할 수 있다. |
5. | ㉤ : 음절 끝에서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 발음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음운 현상 이해, 적용 [정답해설] 이 문항은 제시된 사례들의 정확한 발음을 파악하여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단계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묻고 있다. 제시된 8개의 사례는 각각 ‘부엌 [부억], 간[간], 옷[옫], 빚[빋], 달[달], 섬[섬], 앞[압], 창[창]’으로 발음된다. 정답은 ④ 로, ‘밖’이 [박]으로, ‘밑’이 [믿]으로 발음되는 현상 역시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해당 한다. ‘부엌[부억]’을 통해 ‘ㄱ’이 음절 끝의 자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는 점과 ‘옷[옫]’, ‘빚[빋]’을 통해 ‘ㄷ’이 음절 끝의 자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밖 [박]’, ‘밑[믿]’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의 사례로 적합하다.
[오답피하기] ① 제시된 사례 중에서 ‘부엌’은 [부억]으로 발음되어 음절 끝의 자음이 ‘ㅋ’에서 ‘ㄱ’으로 바뀌기 때문에 ㉠의 진술은 타당하지 않다. ② ‘부엌[부억]’, ‘앞[압]’은 거센소리(ㅋ, ㅍ)일 때 음절 끝 자음이 바뀐 경우이고 ‘달’, ‘섬’, ‘창’은 예사소리(ㄹ, ㅁ, ㅇ)일 때 음절 끝 자음이 바뀌지 않은 경우이지만, ‘옷[옫]’, ‘빚[빋]’을 보면 예사소리(ㅅ, ㅈ)일 때에도 음절 끝 자음이 바뀌기도 한다. 따라서 ㉡은 타당한 진술이 아니다. ③ ‘옷[옫]’, ‘빚[빋]’을 통해 ‘ㄷ’으로도 바뀐 경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은 타당한 진술이 아니다. ⑤ 위의 사례들을 종합하여 볼 때, 음절 끝에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은 ‘ㄱ(부엌), ㄴ(간), ㄷ(옷, 빚), ㄹ(달), ㅁ(섬), ㅂ(앞), ㅇ(창)’이다. 따라서 이를 ‘ㄱ, ㄴ, ㄹ, ㅁ, ㅂ, ㅅ, ㅇ’라고 진술한 ㉤은 타당하지 않다. |
|
12. | <보기>의 ㉠의 방식에 따라 형성된 단어로 적절한 것은? [3점](2014년 09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단어의 구조 파악 [정답해설] ㉠은 ‘뛰어가다’에서와 같이 어간이 연결 어미로 연결되어 형성된 단어에 대한 설명인데, ②의 ‘돌아서다’ 역시 ‘돌다’의 어간 ‘돌-’에 연결 어미 ‘-아’가 붙어 ‘서다’와 연결되어 형성된 합성어이다.
[오답피하기] ① ‘꿈꾸다’는 체언 ‘꿈’과 용언 ‘꾸다’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③ ‘뒤섞다’는 ‘몹시, 마구, 온통’의 뜻을 지니는 접두사 ‘뒤-’와 용언 ‘섞다’가 결합한 파생어이다. ④ ‘빛나다’는 체언 ‘빛’과 용언 ‘나다’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⑤ ‘오르내리다’는 용언의 어간 ‘오르-’와 또 다른 용언의 어간 ‘내리-’가 연결 어미 없이 직접 결합하여 합성어가 된 경우로, <보기>의 ‘오가다’와 같은 경우이다. |
|
13. | <보기>를 참고할 때, 다음 중 ‘이어진문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
 5. | 그 사람과 나는 오래 전부터 서로 사귀어 왔다. |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문장의 짜임을 파악한다. ⑤의 ‘그 사람과 나는 오래 전부터 서로 사귀어 왔다.’에는 ① ~ ④ 와 같이 ‘와/과’가 사용되었지만, 이 문장은 두 개의 홑문장, 즉 ‘그 사람은 오래 전부터 서로 사귀어 왔다.’와 ‘나는 오래 전부터 서로 사귀어 왔다.’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 문장에 쓰인 ‘과’는 행위의 상대임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로, <보기>의 설명대로 서술어가 ‘사귀어 왔다’ 하나이므로 ⑤는 이어진 문장이 아닌 홑문장이다. [오답풀이] ‘이어진문장’이란 ‘이것은 장미꽃이고, 저것은 국화꽃이야.’처럼 둘 이상의 홑문장이 이어진 것으로, 이때 서술어의 개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이어진 홑문장의 개수와 같다. 그런데 <보기>에 제시된 문장의 경우, 서술어의 개수가 하나뿐이어서 홑 문장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두 홑문장이 결합된 이어진문장이다. 이처럼 주어나 목적어, 부사어 등의 특정 문장성분들이 접속 조사 ‘와/과’에 의해 이어져 홑 문장처럼 보이는 이어진문장이 있는데, ① ~ ④ 가 여기에 해당한다. 하나씩 살펴보면, ①은 ‘나는 시를 좋아한다.’와 ‘나는 소설을 좋아한다.’가, ②는 ‘그녀는 집에서 공부했다.’와 ‘그녀는 도서관에서 공부했다.’가, ③은 ‘고향의 산은 예전 그대로였다.’와 ‘고향의 하늘은 예전 그대로였다.’가, ④는 ‘성난 군중이 앞문으로 들이닥쳤다.’와 ‘성난 군중이 뒷문으로 들이닥쳤다.’가 각각 결합된 이어진문장이며, 이때 쓰인 ‘와/과’는 접속 조사이다. |
|
14. | <보기 1>의 ㉠~㉣ 중 <보기 2>와 같이 문장을 수정하는 데에 반영된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2015년 06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비문의 유형 및 해소 [정답해설] <보기 2>에서 바뀐 부분은 세 군데이다. 첫째, ‘참여하려는’이 ‘참여한’으로 바뀌었다. 이는 이 문장이 담고 있는 내용이 과거 일이기 때문에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를 사용한 것이다. 이는 ㉢을 고려한 수정이다. 둘째, ‘각 지역에’가 ‘각 지역의’로 바뀌었다. ‘각 지역의’가 ‘청소년들’을 꾸며 주는 관형어로 쓰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을 고려한 수정이다. ‘각 지역에’처럼 부사격 조사가 붙은 부사어로 쓰는 것은 ‘각 지역에 소통하고 답사하다’와 같이 서술어를 꾸며 준다는 뜻인데 이는 문법적으로 맞지 않는다. 셋째, ‘답사함으로써’ 앞에 ‘유적지를’이 첨가되었다. ‘답사하다’라는 동사가 누가 어디를 답사하는지 밝혀 주어야 하는 두 자리 서술어인데 목적어가 부당하게 생략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을 고려한 수정이다.
[오답피하기] ① ㉡이 빠져 있다. ② ㉡과 ㉢이 빠져 있고 ㉣이 부당하게 들어가 있다. ③ ㉠과 ㉢이 빠져 있고 ㉣이 부당하게 들어가 있다. ⑤ ㉠이 빠져 있고 ㉣이 부당하게 들어가 있다. |
|
15. | <보기>의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한 것은?(2016년 06월) |
 3. | 저마다의 타고난 소질을 계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
4. | 지난달부터 공부를 열심히 했더니 자신감이 생겼다. |
5. | 망치질을 자주 하다 보니 손바닥에 굳은살이 박였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단어 형성의 원리, 새말 창조의 원리 [정답해설] : 이 문항은 합성어를 어근들의 결합 방식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설명한 뒤, 각각의 유형에 해당하는 사례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묻고 있다. 이 문항을 정확하게 풀이하기 위해서는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에 대한 개념 이해와 함께, 밑줄 친 단어의 결합 방식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용언과 용언은 연결 어미로 이어지는 것이 우리말의 일반적 문장 구조에서 나타나는 방식이다. 그러나 ‘뛰노는’은 ‘뛰-+놀+-는’으로 분석되고, 우리말의 일반적 문장 구조와 다르게 연결 어미로 이어지지 않았으므로 ‘뛰노는’은 비통사적 합성어라고 할 수 있다. [오답피하기] ② ‘몰라볼’은 ‘모르-+-아+보-+-ㄹ’로 분석되는데, 용언 ‘모르-’와 용언 ‘보-’가 연결 어미 ‘-아’로 이어져 있으므로 통사적 합성어에 해당한다. ③ ‘타고난’은 ‘타-+-고+나-+-ㄴ’으로 분석되는데, 용언 ‘타-’와 용언 ‘나-’가 연결 어미 ‘-고’로 이어져 있으므로 통사적 합성어에 해당한다. ④ ‘지난달’은 ‘지나-+-ㄴ+달’로 분석되는데, 용언 ‘지나-’가 체언 ‘달’을 수식하면서 관형사형 어미 ‘-ㄴ’과 결합하여 쓰였으므로 통사적 합성어에 해당한다. ⑤ ‘굳은살’은 ‘굳-+-은+살’로 분석되는데, 용언 ‘굳-’이 체언 ‘살’을 수식하면서 관형사형 어미 ‘-은’과 결합하여 쓰였으므로 통사적 합성어에 해당한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17. | 윗글의 내용과 부합하지 않는 것은?(2015년 10월) |
1. | 구름은 수적이 충돌과 병합의 과정을 통해 성장하여 만들어 진다. |
2. | 순수한 물로 만들어진 수적보다 용질이 녹아 있는 수적이 성장하기에 더 용이하다. |
3. | 실제 대기의 응결핵은 자연적으로 생성되기도 하지만 대기 오염의 영향으로 생성되기도 한다. |
4. | 대기가 냉각되면 포화 수증기압이 높아져 수적이 구름으로 형성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5. | 포화 수증기압은 대기가 현재 가지고 있는 수증기압이 아니라 최대로 가질 수 있는 수증기압을 나타낸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글의 세부 정보를 파악한다. 첫째 단락에서 대기가 냉각되면 포화 수증기압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포화 수증기압이 높아진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18. |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보기>의 ‘원판’의 회전 운동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2015년 11월) |
 1. | 두 힘을 계속 가해 주는 상태에서 원판의 회전 속도는 증가한다. |
2. | A, B에 가해 주는 힘을 모두 제거하면 원판은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한다. |
3. | A에 가해 주는 힘만을 제거하면 원판의 회전 속도는 증가한다. |
4. | A에 가해 주는 힘만을 제거한 상태에서 원판이 두 바퀴 회전하는 동안 알짜 돌림힘이 한 일은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알짜 돌림힘이 한 일의 4배이다. |
5. | B에 가해 주는 힘만을 제거하면 원판의 회전 운동 에너지는 점차 감소하여 0이 되었다가 다시 증가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구체적 상황에 적용하기 [정답해설] <보기>의 OA는 OB의 절반에 해당하며, A, B에는 각각 OA, OB와 직각 방향으로 표면과 평행하게 같은 크기의 힘이 작용하여 원판을 각각 시계 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밀어 준다고 하였으므로 두 돌림힘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며, 그 힘은 2배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 왜냐하면 2문단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물체에 작용하는 돌림힘의 크기는 회전축에서 X까지의 거리와 가해 준 힘의 크기의 곱으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한편 <보기>의 원판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A에 가해 주는 힘만을 제거한 상태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밀어 주는 알짜 돌림힘만 존재한다. 이때 원판이 두 바퀴 회전한다면, 4문단에 언급된 바와 같이 알짜 돌림힘이 한 일은 알짜 돌림힘의 크기와 회전 각도의 곱에 해당하므로, 원판이 두 바퀴 회전하는 동안 알짜 돌림힘이 한 일은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알짜 돌림힘이 한 일의 4배가 아니라 2배이다.
[오답피하기] ① <보기>의 A와 B에 작용하는 돌림힘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는데,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밀어 주는 돌림힘이 시계 방향으로 밀어 주는 돌림힘의 2배에 해당한다. 따라서 두 힘을 계속 가해 주는 상태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밀어 주는 알짜 돌림힘이 양(+)의 일을 하는데, 6문단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형태가 일정한 물체에 알짜 돌림힘이 양의 일을 하면 회전 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보기>와 같이 두 힘을 계속 가해 주는 상태에서는 원판의 회전 속도가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② 4문단에서 회전 속도의 변화는 물체에 알짜 돌림힘이 일을 해 주었을 때에만 일어난다고 언급하고 있다. <보기>의 A, B에 가해 주는 힘을 모두 제거하면 알짜 돌림힘은 0이 되어 어떤 돌림힘도 작용하지 않았으므로 원판은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한다고 할 수 있다. ③ <보기>의 상황에서 A에 가해 주는 힘만을 제거하면 B에 가해지는 시계 반대 방향의 알짜 돌림힘만 일을 하게 되는데, 이때의 알짜 돌림힘은 물체를 돌리려는 방향과 물체의 회전 방향이 일치하므로 양(+)의 일을 하면서 원판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킨다고 할 수 있다. ⑤ <보기>의 상황에서 B에 가해 주는 힘만을 제거하면 시계 방향으로 밀어 주는 알짜 돌림힘만 작용한다. 이때 알짜 돌림힘은 음(-)의 일을 하고, 음의 일을 하면 원판의 회전 속도 에너지가 감소한다. 그런데 알짜 돌림힘이 한 일은 알짜 돌림힘의 크기와 회전 각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알짜 돌림힘이 계속 작용하게 되면 시계 방향으로 작용하는 돌림힘에 의해 돌림힘의 평형 상태에 이르는 순간에 도달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던 원판의 회전 운동 에너지가 0이 되었다가 원판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따라서 B에 가해 주는 힘만을 제거하면 원판의 회전 운동 에너지는 점차 감소하여 0이 되었다가 다시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19. | ㉠의 문맥적 의미와 가장 유사한 것은?(2014년 04월) |
3. | 갈수록 성적이 떨어져서 대책을 세워야 한다. |
4. | 해가 떨어지기 전에 이 일을 마치도록 하여라. |
5. | 파란불 신호가 떨어지자 사람들이 건널목을 건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문맥적 의미 이해하기 ㉠의 ‘떨어지면’은 ‘값, 기온, 수준, 형세 따위가 낮아지거나 내려간다.’는 의미이다. ① 뒤를 대지 못하여 남아 있는 것이 없게 된다는 의미이다. ② 병이나 습관 따위가 없어진다는 의미이다. ④ 해, 달이 서쪽으로 진다는 의미이다. ⑤ 지정된 신호 따위가 나타난다는 의미이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20. | 윗글의 서술 방식으로 적절한 것은?(2013년 04월) |
1. | 비유적 표현을 구사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
2. | 통념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여 호기심을 유발하고 있다. |
3. | 상반된 이론을 비교하여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
4. | 특정 행위가 나타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
5. | 다양한 이론이 등장하게 된 사회적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전> 송관재 외, 「인간 심리의 이해」
[출제의도] 글의 서술 방식 이해하기 이 글의 중심화제는 반두라(Bandura)의 관찰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인간의 공격행동이 학습되는 과정이다. 반두라는 관찰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공격행동이 나타나는 과정을 4단계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③ 이 글에는 여러 심리학자들의 견해가 제시되어 있지만 상반된 이론을 비교하여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21. | 문맥상 Q)〜@을 바꿔 쓰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3년 11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어휘의 문맥적 의미 파악 [정답해설] ㉣의 ‘방지한다고’는 ‘어떤 일이나 현상이 일어나지 못하게 막는다고’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문맥의 흐름으로 보아 ‘막아준다고’ 로 바꿔쓰는 것이 적절하다.
[오답피하기] ① ‘활용되었다’는 ‘이용되었다’, ‘쓰였다’ 등으로 무난하게 바꿔쓸 수 있 다. ② ‘견고하다’가 ‘굳고 튼튼하다’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③ ‘돌출’의 의미가 잘 보이게 앞으로 튀어나와 있다는 의미이다. ⑤ ‘선사하다’는 ‘존경·축하·애정의 뜻으로 남에게 선물을 줌.’의미이므로 ‘주다’와 바꿔쓸 수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22. | 윗글의 설명과 부합하지 않는 것은?(2014년 06월) |
1. | 고고학은 유물로부터 얻은 정보를 축적하여 다양한 해석을 시도한다. |
2. | 발굴로 얻어지는 유물은 과거 인간의 삶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
3. | 유물에 대한 연대 측정 기술이 발달할수록 그에 비례하여 발굴되는 유물의 양이 늘어난다. |
4. | 개선된 측정 방법으로 유물의 정보를 세밀하게 분석하면 새로운 고고학적 해석이 가능해진다. |
5. | 고고학은 부분적인 정보가 들어 있는 유물들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여러 분야의 이론을 활용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인문, ‘고고학의 유물 자료 해석’ [지문해설] : 이 글은 토기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예로 들어 발굴을 통해 얻은 유물을 해석하는 다양한 고고학적 접근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진화고고학에서는 진화론에 기초하여 토기의 변화를 설명하였으나, 세밀한 연대 측정 기술에 힘입어 보다 정확한 정보가 확인되자 생태학적 이론에 입각한 설명, 유물이 사용된 사회문화적 맥락을 강조한 설명 등과 같은 새로운 해석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단편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과거 인간의 삶을 복원하고자 하는 고고학은, 그 특성상 발굴을 통한 유물 자료가 빠르게 축적되고 새로운 측정 방법이 개발됨에 따라 다양한 자료 해석이 제시된다. 따라서 고고학에서는 다양한 해석을 하고자 하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 [주제] 유물 자료를 해석하는 고고학의 연구 방법 및 특징
세부 내용 추론 [정답해설] 3문단에 따르면, 고고학자들은 세밀한 연대 측정을 통해 토기 두께가 4세기경 급작스럽게 변화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는 사실과, 전분 함량이 높은 음식이 보편화된 것이 5세기 이후부터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는 연대 측정 기술의 발달 덕분에 고고학자들이 이전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물에 대한 연대 측정 기술이 발달할수록 그에 비례하여 발굴되는 유물의 양이 늘어난다는 진술은 적절하지 않다.
[오답피하기] ① 2문단에서는 토기 두께가 얇아지고 곡물의 전분 함량이 증가한다는 정보를 바탕으로 한 진화고고학적인 해석이, 4문단에서는 두께가 얇은 토기가 오랫동안 사용되었다는 정보를 바탕으로 한 생태학적 설명이, 5문단에서는 4세기경에 토기의 두께가 급격히 얇아졌다는 정보를 바탕으로 한 사회문화적 접근이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고고학은 유물로부터 얻은 정보를 축적하여 다양한 해석을 시도한다고 할 수 있다. ② 1문단에서 고고학자들이 발굴을 통해 얻은 유물 자료에는 과거 인간의 삶에 관한 극히 단편적인 정보가 남아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④ 3문단에 따르면, 세밀한 연대 측정 결과 토기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변화한 것이 아니라 4세기경 급작스럽게 변화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는 사실과, 전분 함량이 높은 음식이 보편화된 것은 5세기 이후부터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4문단에서는 이러한 사실 중 두께가 얇아진 토기가 장기간 사용된 이유를 생태학적 이론에 입각하여 설명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고, 5문단에서는 4세기경에 토기의 두께가 급격히 얇아지는 이유를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설명하려는 관점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개선된 측정 방법으로 유물의 정보를 세밀하게 분석하면 새로운 고고학적 해석이 가능해진다고 할 수 있다. ⑤ 2문단에서 진화고고학은 진화론에 초점을 맞추어, 4문단에서 생태학적 설명은 생태학적 이론에 입각하여 과거를 설명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5문단에서는 사회 문화적 요인으로 유물의 의미를 설명하려는 관점을 소개하고 있으므로 고고학은 부분적인 정보가 들어 있는 유물들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여러 분야의 이론을 활용한다고 할 수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23. | ㉠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2013년 03월) |
1. | 스테노는 ㉠을 추측하기는 했지만 확인하지는 못했다. |
2. | 스테노는 ㉠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물리 법칙을 입증했다. |
3. | ㉠의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X선이 개발되었다. |
4. | 스테노는 ㉠의 다양한 양상들을 비교하여 분류 체계를 만들어 냈다. |
5. | ㉠을 분석한 내용이 면각 일정의 법칙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글의 세부 정보를 파악한다. 3문단의 설명을 통해 스테노가 같은 광물의 결정일 경우 면각이 일정한 이유가 결정 내부의 규칙성을 반영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추측을 입증할 수 있게 된 것은 그가 죽은 뒤 X선이 발견되고 나서라고 했으므로 정답은 ① 이다. [오답풀이] ② 스테노가 발견한 면각 일정의 법칙은 다른 모양의 수정 결정들이 지니는 공통점일 뿐 그것을 통해 결정 내부의 규칙성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24. | ㉠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3년 09월) |
1. | 개인 정보의 침해가 계속 진행되는 것을 막고자 한다. |
2. | 개인 정보를 철저히 관리하지 못한 책임을 묻고자 한다. |
3. | 개인 정보의 침해가 일어난 데 대한 배상을 받고자 한다. |
4. | 개인 정보를 판매한 데 대하여 경각심을 촉구하고자 한다. |
5. | 개인 정보의 침해를 당한 피해자들이 소송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전제, 결론 추론 [정답해설] A회사의 잘못은 시스템 관리를 허술하게 하여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막지 못한 것이지 개인 정보를 A회사에서 직접 판매한 것은 아니므로 이와 같은 내용은 갑이 진행한 소송의 목적으로 적절하지 않다.
[오답피하기] ① 갑은 A회사에게 사이트 운영의 중지를 요구하였는데, A회사가 이를 거부하였고, 사이트 운영이 계속되는 한 링크 파일을 통해 개인 정보의 유출이 계속될 것이므로 소송의 목적에 개인 정보 침해가 진행되는 것을 막는 것은 포함된다. ② A회사의 허술한 시스템 관리로 인해 개인 정보의 유출이 이루어졌으므로 소송의 목적에 그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은 포함된다. ③ 소송을 통해 갑과 공동으로 소송을 진행하는 사람들이 청구한 내용에 피해의 배상이 포함되므로 개인 정보 침해에 대한 배상은 소송의 목적이 된다. ⑤ 갑이 개별적으로 소송을 진행하지 않은 이유가 배상액에 비해 소송 비용이 적지 않기 때문이므로, 공동 소송의 목적에 비용 절감은 포함될 수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25. | 문맥상 ⓐ∼ⓔ를 바꿔 쓰기에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06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어휘 선택의 적절성 판단 [정답해설] ‘분할(分割)’은 나누어 쪼갠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는 하늘을 1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쪼갠다는 의미이므로 바꾸어 쓰기에 적절하다.
[오답피하기] ① 제조(製造)는 공장에서 큰 규모로 물건을 만든다는 의미이다. 문맥상 어떤 형상을 이룸을 뜻하는 형성(形成)이나 재료를 가지고 기능과 내용을 가진 새로운 물건이나 예술 작품을 만든다는 의미의 제작(製作)이 더 적절하다. ② 지적(指摘)은 꼭 집어서 가리키거나 허물 따위를 드러내어 폭로한다는 의미이다. 문맥상 어떤 대상을 가리켜 이르는 것을 뜻하는 지칭(指稱)이 더 적절하다. ③ 소진(消盡)은 다 써서 없앤다는 의미이다. 문맥상 사라져 없어짐을 뜻하는 소실(消失)이나 소멸(消滅)이 더 적절하다. ⑤ 기립(起立)은 앉아 있다가 일어나서 서는 것을 뜻한다. 문맥상 일정한 곳에 자리를 차지한다는 뜻의 ‘위치(位置)’가 적절하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26. | ⓐ~ⓔ를 사용하여 만든 문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11월) |
1. | ⓐ : 그는 행사 관련 서류의 열람을 집행부에 요구했다. |
2. | ⓑ : 그는 회사의 자금 충당 방안을 마련하느라 동분서주했다. |
3. | ⓒ : 직원들의 노력에도 회사의 손익이 계속 경감될 뿐이다. |
4. | ⓓ : 정부는 무역 수지 개선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
5. | ⓔ : 집단 이기심은 사회 발전을 저해할 요인으로 작용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어휘의 문맥적 의미 파악 [정답해설] ‘경감(輕減)되다’는 ‘부담이나 고통 따위가 줄어서 가볍게 되다.’의 뜻으로, ‘부담’이나 ‘고통’에 해당하는 말과 의미상 호응 관계를 이루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③ 에 제시된 문장의 맥락을 ‘직원들의 노력에도 회사의 상황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로 본다면, ‘손익이 계속 경감될 뿐이다’라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 ‘손익’은 손해와 이익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경감되다’와 의미상 호응을 이루지 않는다.
[오답피하기] ① ‘열람(閱覽)’은 ‘책이나 문서 따위를 죽 훑어보거나 조사하면서 봄.’의 뜻이므로, ‘서류의 열람’은 의미상 적절한 표현이다. ② ‘충당(充當)’은 ‘모자라는 것을 채워 메움.’의 뜻이므로, ‘자금 충당’은 의미상 적절한 표현이다. ④ ‘개선(改善)’은 ‘잘못된 것이나 부족한 것, 나쁜 것 따위를 고쳐 더 좋게 만듦.’의 뜻이므로, ‘무역 수지(일정 기간 동안에 상품의 수출입 거래로 생기는 국제 수지.) 개선’은 의미상 적절한 표현이다. ⑤ ‘저해(沮害)하다’는 ‘막아서 못하도록 해치다.’의 뜻이므로, ‘사회 발전을 저해할’은 의미상 적절한 표현이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27. |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2015년 03월) |
1. | 고딕 시대 사람들은 성당에서 신의 존재를 체험하고자 했다. |
2. | 로마네스크 양식의 둥근 아치형 천장은 로마의 영향을 받았다. |
3. | 십자군 전쟁이 발발한 어수선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로마네스크 양식이 나타났다. |
4. | 고딕 성당은 도시에서 농촌으로 옮겨 지어져 혼란기의 이주민들에게 위안을 주었다. |
5. | 성당 내부에 빛을 더 많이 받아들이고자 한 노력이 고딕 성당의 구조에 영향을 주었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예술) 사카이 다케시, 「고딕, 불멸의 아름다움」 중세 시대에 발전한 로마네스크 양식과 고딕 양식을 설명하고 있는 글이다. 로마의 영향을 받은 로마네스크 양식과 로마네스크 양식이 변형을 거쳐 발전한 고딕 양식을 적용한 종교 건축물을 통해 초월적 세계에 대한 중세 사람들의 종교적 열망을 읽어낼 수 있다.
[출제의도] 글의 세부 정보를 파악한다. 고딕 양식은 농촌에서 도시로 삶의 터전을 옮긴 이주민들이 혼란과 불안을 경험하던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고 하였다. 이들은 고딕 양식으로 지어져 빛으로 가득해진 도시의 성당에서 고통스러운 현실을 위안 받고자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고딕 성당이 도시에서 농촌으로 옮겨 지어졌다는 정보는 확인할 수 없다. [오답풀이] ① 고딕 시대 사람들은 성당에 더 많은 빛을 들어오게 하는 고딕 양식을 통해 신의 존재를 체험하고자 했다. ② 로마네스크 성당의 천장은 로마의 영향을 받아 둥근 아치 형태였다. ⑤ 성당 내부에 빛을 더 많이 받아들이고자 한 노력이 고딕 성당에서 창을 크게 만들게 된 데 영향을 주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28. |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6년 06월) |
1. | 소리에 대한 감각이 음악 감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있다. |
2. | 미적 본성에 대한 과학적 탐색과 음악적 탐색을 비교하고 있다. |
3. | 소리를 구분하고 그것을 근거로 하여 음악의 형식을 분류하고 있다. |
4. | 음악의 아름다움을 소리에 관한 과학적 분석과 관련지어 탐구하고 있다. |
5. | 듣기 좋은 소리와 그렇지 않은 소리가 음악에서 하는 역할을 분석하고 있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예술과 과학, ‘다양한 특성의 음들로 이루어진 음악의 아름다움’ [지문해설] : 이 글은 소리로 이루어진 예술인 음악이 어떻게 아름다울 수 있는지를 설 명하고 있다. 음악에서 사용하는 소리는 고른음과 시끄러운음으로 나뉘는데, 고른음의 소리 스펙트럼은 부분음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반면 시끄러운음의 소리 스펙트럼은 부분음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 이 글은 진동수 개념을 통해 이러한 음의 특징과 악기의 소리가 갖는 음색의 특징, 음의 어울림인 음정 개념을 설명하는 동시에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어 내는 데 필요한 여러 요소로 리듬, 가락, 화성, 셈여림, 음색 등과 같은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작곡가는 이러한 음악적 요소들을 활용해 다양한 특성을 갖는 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작품을 만들어 낸다고 하면서 음악의 아름다움이 구현되는 과정을 밝히고 있다. [주제] 음악에서 사용되는 소리와 다양한 음악적 요소에 대한 이해
내용 전개 방식 파악 [정답해설] 이 글은 진동수라는 과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을 설명하고, 이러한 음과 음의 어울림인 협화도를 진동수를 활용한 음정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한슬리크의 형식 미학의 관점을 언급하면서 음악의 아름다움은 음과 다양한 음악적 요소가 결합하여 비롯되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오답피하기] ① 이 글은 소리에 대한 인간의 감각과 음악 감상 사이의 상관관계를 다루고 있는 글이 아니다. ② 이 글은 진동수라는 과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어떻게 아름다운 음악이 만들어질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 있을 뿐, 미적 본성에 대한 과학적 탐색과 음악적 탐색을 비교하고 있지는 않다. ③ 이 글은 소리를 고른음과 시끄러운음으로 구분한 뒤 그중 고른음에 대해 자세히 풀어쓰고 있고,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음정과 음악적 요소를 설명하면서 다양한 특성을 갖는 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해야 아름다운 음악이 만들어진다고 말하고 있다. 이 글은 음악의 형식을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는 글은 아니다. ⑤ 이 글은 듣기 좋은 소리와 그렇지 않은 소리를 각각 고른음, 시끄러운음으로 나누고, 고른음과 시끄러운음의 특성을 설명한 후에 음정과 여러 음악적 요소들을 통해 이러한 음들이 어떤 방식으로 결합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이 듣기 좋은 소리와 그렇지 않은 소리가 음악에서 하는 역할을 분석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29. | ‘영수’와 ‘진호’가 공통적으로 사용한 읽기 전략으로 적절한 것은?(2013년 04월) |
1. | 책의 제목이나 목차를 보고 내용을 짐작해 본다. |
2. | 글이 가지고 있는 내용 전개 방식을 파악한다. |
3. | 제시된 자료의 신빙성을 따져 가며 읽는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읽기 전략 이해하기 영수와 진호는 모두 책을 읽기에 앞서 책의 제목이나 목차를 보고 책의 내용을 짐작하고 있다. 영수는 목차와 소제목을 보며 책에서 기억과 망각의 과정에서 뇌가 어떻게 기능하는지 설명할 것 같다고 짐작 하고 있으며, 진호는 책 제목을 보고 풍속화 감상법에 대한 내용, 실제 그림 감상 내용 등이 있을 것이라고 짐작하고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30. | ⓐ~ⓔ의 사전적 의미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
2. | ⓑ: 어떤 부류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
3. | ⓒ: 어떤 상황이나 현상이 굳어져 변하지 않는 상태가 된. |
4. | ⓓ: 어떤 기준이나 실정에 맞게 정돈하여.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어휘의 사전적 의미 파악하기 ‘어떤 기준이나 실정에 맞게 정돈하다’의 의미를 가진 단어는 ‘조정(調整)하다’이다. 또 ‘조합하다’의 의미는 ‘여럿을 한데 모아 한 덩어리로 짜다’이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31. |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6월) |
1. | (가)에서는 근경에서 원경으로, (다)에서는 원경에서 근경으로 시선이 이동하고 있다. |
2. | (나)의 <제2수>에는 생성의 이미지가, (다)에는 소멸의 이미지가 나타나 있다. |
3. | (나)의 <제3수>와 (다)에서는 화자의 심경 변화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고 있다. |
4. | (나)의 <제4수>와 (다)에는 반어적 표현이 활용되고 있다. |
5. | (가), (나), (다)에는 모두 청각적 심상이 나타나 있다. |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고전시가 - 남구만 ‘동창이 밝았느냐’/ 위백규 ‘농가(農歌)’/ 정학유 ‘농가월 령가(農家月令歌)’ [지문해설] : (가)~(다)는 모두 농촌 생활을 중심 소재로 삼아, 양반사대부가 지은 노래 이다. (가)~(다)에서 배경으로 등장하는 농촌은 건강한 삶의 터전이자 노동의 현장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작품의 주된 내용도 농가의 일상이라 할 수 있는 농사일과 관계 되어 있다. (가)는 일종의 ‘권농가(勸農歌)’로서 화자는 작품의 앞 부분에서 농촌의 정겨운 아침 풍경을 제시한 뒤, ‘소 치는 아이’에게 농사일을 부지런히 할 것을 타이르듯 부드러운 어조로 권유하고 있다. [주제] (가) 농사를 부지런히 할 것을 권유 (나)는 농가(農歌)의 생활과 농사일의 즐거움을 구체적으로 묘사한 연시조(전 9수) 중 일부로서, 한자어의 사용을 자제하고 농촌의 일상어를 사용한 점이 특징이다. (나)의 제2수와 제3수는 노동의 풍경과 일하는 사람들이 서로 유대하고 협력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으며, 제4수는 부지런히 일한 뒤에 만끽하는 휴식의 즐거움을 흥취 있게 묘사하고 있다. [주제] (나) 농가(農家)의 생활과 농사일을 하는 즐거움. (다)는 1월에서 12월까지 그 달에 해야 할 농사일과 절기에 따른 세시풍속을 담고 있는 월령체 가사(전 13장)로서, 농사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와 농부가 해야 할 바람직한 일들을 명령형ㆍ청유형 어미를 사용해 노래한 작품이다. [주제] (다) 각 달과 절기에 따른 농사일과 세시풍속 소개
표현상 특징 파악 [정답해설] (가)의 ‘노고지리 우지진다’, (나)의 ‘긴 휘파람 흘리 불 제’, (다)의 ‘뻐국새 자주 울고’와 ‘꾀꼬리 노래한다’와 같은 표현에 청각적 심상이 사용되어 있다.
[오답피하기] ① (가)와 (다)는 시선의 이동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고 있지는 않다. ② (나)의 <제2수>는 농가의 일상을 담담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생성의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다. (다)는 초여름을 배경으로, 자연에 넘쳐흐르는 생명력을 그려 보이고 있으므로 ‘소멸의 이미지’와는 무관하다. ③ (나)의 <제3수>는 부지런히 일한 뒤에 누리는 휴식의 기쁨을 묘사한 작품으로, ‘화자의 심경 변화’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고 있지 않다. ④ (나)의 <제4수>와 (다)는 반어적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32. | 윗글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때,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
 1. | ‘은하 낭자’는 ⓐ에서 백학선 때문에 ‘유 상서’에 의해 고난을 겪는다. |
2. | ‘은하 낭자’는 ‘유 한림’을 찾으러 ⓑ로 가는 길에 ‘유 한림’을 만나지 못하는 좌절을 겪는다. |
3. | ‘유 상서’는 ⓓ로 ‘전 현령’을 불러 ‘유 한림’의 혼사 문제를 의논한다. |
4. | ‘유 한림’은 ‘은하 낭자’가 ‘유 상서’와 만나 ‘유 한림’의 행방을 물었음을 ⓓ에서 알게 된다. |
5. | ‘유 한림’은 외숙인 ‘전 현령’의 말을 듣고 ⓓ에서 ⓒ로 떠날 결심을 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33. | 윗글의 ㉠과 <보기>의 ⓐ를 비교하여 감상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2014년 06월) |
 1. | ㉠은 화자의 기대에 어긋나는 장소이고, ⓐ는 필자의 휴식을 방해하는 장소이다. |
2. | ㉠은 화자가 복숭아나무의 영향을 받았던 장소이고, ⓐ는 필자가 밤나무에 영향을 주었던 장소이다. |
3. | ㉠은 화자가 복숭아나무에 대해 사색에 잠겼던 장소이고, ⓐ는 필자가 밤나무에 대한 글을 썼던 장소이다. |
4. | ㉠은 복숭아나무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장소이고, ⓐ는 밤나무에 대한 필자의 고민이 저절로 해소되는 장소이다. |
5. | ㉠은 곁에 있는 복숭아나무에 대한 화자의 친밀감을, ⓐ는 떠나온 밤나무에 대한 필자의 그리움을 강화하는 장소이다. |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작품 간의 공통점, 차이점 파악 [정답해설] 화자가 ‘그 복숭아나무’에 대해 깨닫기 전에는 ‘사람이 앉지 못할 그늘’을 가졌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거리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그 복숭아나무’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고 난 후에는 그 ‘그늘’(㉠)에서 화자가 ‘저녁이 오는 소리를’ 가만히 듣고 있다. 따라서 ㉠은 복숭아나무에 대한 화자의 친밀감이 강화되는 장소로 볼 수 있다. ⓐ에서 필자는 ‘상이 막히어 붓대가 내키지 않을 때’, ‘생각이 옹색할 때’, ‘피로가 몸에 미칠 때’ 등이면 ‘매듭진 상을 골라서 풀곤 했’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었기 때문에 밤나무를 ‘내 생명의 씨를 밝혀 주는 씨앗터’로 여기고 있다. 그런데 지금은 그러한 곳을 ‘떠나 살게 되니’ 밤나무에 대한 그리움이 절실해지고 있다.
[오답피하기] ① ㉠을 화자의 기대에 어긋나는 장소로 파악하기보다는 ㉠에서 화자가 휴식을 취하며 친밀감을 느끼고 있는 장소로 파악하는 것이 적절하다. ⓐ는 필자의 휴식을 방해하는 장소가 아니라 오히려 필자에게 안식처를 제공하여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장소이다. ② ㉠에서 화자가 복숭아나무에 대한 거리감을 회복하고는 있으나 이 것을 복숭아나무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는 필자가 밤나무에 영향을 주었던 장소가 아니라 밤나무가 필자에게 영향을 주는 장소로 감상하는 것이 적절하다. ③ ⓐ는 필자가 밤나무에 대한 글을 썼던 장소가 아니다. ‘직접 이 철학자를 두고 짜여진 것은 아직 한 편도 없으나’라고 서술되어 있다. ④ ㉠은 복숭아나무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장소가 아니다. 이 작품은 복숭아나무가 의인화되어 있으나 복숭아 나무의 심리와 행동보다는 이를 바라보는 화자의 심리와 행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 ⓐ 아래에서 필자가 다양한 고민을 해소하고는 있으나 그러한 고민은 밤나무에 대한 것들이 아니다. 필자의 고민은 주로 창작의 고민과 그것으로 인한 피로감에서 오는 것들이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34. |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4년 07월) |
2. | 시선의 이동을 통해 대상을 전체적으로 그리고 있다. |
3. | 우화를 제시하여 삶에 대한 반성을 이끌어내고 있다. |
4. | 공간의 이동에 따라 글쓴이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
5. | 과거를 환기함으로써 그리움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서술상의 특징 파악하기 이 글의 글쓴이는 영웅의 삶과 속인의 삶을 대비하며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모든 것을 아주 단념해 버리는 것과 끝없이 새로운 것을 욕망하고 추구하는 것을 영웅의 삶, 이와는 달리 약간은 욕망하고 약간은 단념하는 삶을 속인의 삶으로 대비시켜 진정한 삶의 자세라는 주제를 부각하고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35. | [A]와 [B]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6년 07월) |
1. | [A]는 서술자가 작품 속에서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
2. | [B]는 서술자가 전지적 시점에서 등장인물의 행동과 심리를 서술하고 있다. |
3. | [A]와 [B]는 모두 현재와 과거의 사건을 교차하여 향후 전개될 사건의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
4. | [A]와 [B]는 모두 회상의 방식을 사용하여 인물 간의 갈등이 발생한 근본적 원인을 보여 주고 있다. |
5. | [A]는 주인공의 부정적 측면을, [B]는 주인공의 긍정적 측면을 제시하여 인물의 이중적인 성격을 부각하고 있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서술상의 특징 파악하기 [B]는 작품 밖의 서술자가 전지적 시점으로 ‘유 자’의 행위를 설명하고, ‘늘 무엇인가를 빠뜨리고 오는 것처럼 개운치가 않았다’와 같은 구절을 통해 힘든 사람들을 가엽게 여기는 유자의 심리를 서술자가 제시하고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36. | <보기>를 참고할 때, 윗글에 대한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11월) |
 1. | ‘소’, ‘울타리’, ‘빈 지게’, ‘헛간’ 등을 연극적 장치로 이용하여 무대 공간을 현실의 일부인 것처럼 꾸미고 있군. |
2. | 인물의 감정이 격앙되어 있음을 보여 주는 행동과 생동감 있는 구어체의 말투를 통해 갈등 상황을 실감 나게 제시하고 있군. |
3. | ‘마름’의 뒤를 따라가는 ‘국서’의 행동과 ‘국서’에게 지시하는 ‘마름’의 행동을 통해 농촌 사회의 계층 간 위계 관계를 보여주고 있군. |
4. | ‘농지령’, ‘작인’, ‘도지’ 등 농민과 관련된 법령 및 용어를 사용하여 무대 위의 상황이 당대의 농촌 현실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 주는군. |
5. | ‘늙은 사람 앞에 ~ 고약한 눔 같으니!’, ‘나를 보고는 그만 도망을 했어!’ 등의 대사를 통해 계층 간 위계 관계를 중시하는 당대 농촌 사회의 관습을 보여 주는군. |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외적 준거에 따른 작품 감상 [정답해설] “나를 보고는 그만 도망을 했어!”는 가족 몰래 소를 팔아 치우려는 계획을 들키지 않기 위해 자리를 피하는 개똥이에 대한 말똥이의 개인적 판단이 담긴 대사이다. 이를 ‘계층 간 위계 관계를 중시하는 당대 농촌 사회의 관습’을 따른 판단이라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오답피하기] ① 당대 농촌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 ‘울타리’ 등의 소재를 연극적 장치로 사용할 경우 무대 상황에 사실성을 부여할 수 있다. ② 등장인물이 실제처럼 상황에 어울리는 감정 표현을 하거나 구어체의 말투로 연기할 경우 연극 상황에 보다 현실성을 부여할 수 있다. ③ 명령하는 마름의 모습과 조심스럽게 마름을 대하는 국서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당대의 마름과 소작농 간 관계를 보여 줄 수 있다. ④ ‘농지령’, ‘작인’, ‘도지’와 같이 특정 시기에 자주 사용되었던 용어를 사용하면 당시 시대 상황을 구체적으로 사실감 있게 보여 줄 수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37. | ⓐ의 상황을 나타내기에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06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상황에 적절한 속담 적용 [정답해설] ⓐ는 백주사가 방삼복을 통해 자신의 재산을 빼앗아간 대상에게 분풀이를 하고 동시에 재산을 다시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하는 상황이므로, 한 가지 일을 통해 두 가지 이상의 이익을 보게 됨을 의미하는 ‘꿩 먹고 알 먹는다.’가 이에 부합하는 속담이다.
[오답피하기] ② 조금 주고 그 대가로 몇 곱절이나 많이 받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③ 소를 도둑맞은 다음에 빈 외양간을 고치느라 수선을 떤다는 뜻으로,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는 손을 써도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④ 상대편이 자기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자기도 상대편에게 좋게 한다는 뜻으로, 말은 누구에게나 점잖고 부드럽게 하여야 한다는 의미다. ⑤ 욕을 당한 자리에서는 말 못하다가 뒤에 가서 불평하는 것으로, 화가 난 마음을 애매한 다른 곳에 옮겨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38. | 윗글의 표현상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
1. | 물음의 방식을 통해 화자의 처지를 강조하고 있다. |
2. | 비유의 방법을 활용하여 시적 상황을 전달하고 있다. |
3. | 유사한 구조의 시구끼리 짝을 지어 운율감을 형성하고 있다. |
4. |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대상을 사실감 있게 제시하고 있다. |
5. | 연쇄법을 활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부각하고 있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고전시가) 이광명, ‘북찬가’ 이 작품의 작가는 역모 죄로 처형된 이진유의 조카라는 이유로 유배를 가게 된다. 유배의 억울함과 홀로 남겨진 노모에 대한 그리움과 염려를 노래하고 있는 조선 후기 유배 가사이다.
[출제의도] 작품의 표현상 특징을 파악한다. 지문에서 의성어나 의태어를 사용한 부분을 찾을 수 없다. [오답풀이] ⑤ ‘잠든 밧긔 한숨이오 한숨 끝에 눈물 일세’ 등에서 연쇄법을 확인할 수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39. |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4년 06월) |
1. | 운문체를 사용하여 인물 사이의 갈등을 부각하고 있다. |
2. | 현재와 과거를 교차하여 장면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
3. | 열거의 방식으로 인물의 외양을 해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
4. | 배경 묘사를 통해 밝고 역동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
5. | 사건을 요약적으로 제시하여 서사를 빠르게 전개하고 있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고전소설 - 작자미상, ‘흥부전’ [지문해설] : 이 작품은 보은(報恩) 설화가 바탕이 된 ‘흥보가’가 문자로 정착된 판소리 계 소설이다. 표면적으로는 형 놀부와 동생 흥부라는 대조적인 인물을 설정하여 형제간의 우애와 권선징악의 주제를 드러내고 있지만, 그 이면에서는 부농과 빈농 사이에 벌어지는 경제적인 갈등 상황을 그려내고 있다. 이는 조선 후기의 신분 변동에 따라 나타난 유랑 농민과 신흥 부농(富農)과의 갈등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설화에서 차용한 모방담(模倣談)으로서의 소설적 구조를 계승하고 있으며, 인물이나 사건을 그려 나가는 방식은 판소리계 소설답게 다분히 서민적이고 해학적인 문체를 구사하고 있다. 이러한 문체상의 특징은 이 작품에 나타난 시대적 배경의 심각성이나 비극적 상황을 서민 특유의 건강한 웃음으로 인식, 극복하려는 의식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주제] 형제간의 우애와 권선징악, 빈부 간의 격차로 인한 갈등
서술상의 특징 파악 [정답해설] ㉠은 놀부의 집에 가는 흥부의 행동과 차림새 등 외양을 묘사한 부분이다. ㉠의 바로 앞 구절은 ‘치장을 볼작시면’이다. 그러므로 ㉠은 흥부의 ‘치장(외양)’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의 내용은 머리에 두른 망건, 도포의 한 종류인 중치막, 도포 끈인 술띠, 바지(고의)와 대님, 짚신, 부채, 자루의 모양과 흥부가 걸어가는 모습 등인데, 이를 차례로 열거하며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이 내용이 해학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원래 있어야 할 편자가 없는 망건에, 보통 금·옥·뼈·뿔로 만드는 관자 대신에 박쪼가리로 만든 관자를 달고 있다. 게다가 망건 윗부분의 당끈은 원래 말총으로 하는데 말총이 아닌 물렛줄로 하였다. 이렇게 격식에도 안 맞고 우스운 모양의 망건을 흥부는 ‘대가리 터지게’ 동여매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흥부가 입은 중치막은 깃만 남아 있고, 술띠는 동강을 이어 놓았으며, 고의는 떨어졌고 대님은 칡 노끈인데다가 감발을 하고 헌 짚신을 신은 모습이다. 이렇게 입고는 세살부채를 쥐고 볼품없이 생긴 자루를 꽁무니에 차고 있다. 그런 상태로 걸어가는 모습이 ‘바람맞은 병인’ 같고 ‘잘 쓰는 대비(빗자루)’ 같은데 게다가 이리저리 기웃거리며 망설이는 모양으로 걸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보아 인물의 외양을 해학적으로 묘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오답피하기] ① ㉠은 내용 전체가 흥부의 외양 묘사이기 때문에 인물 사이의 갈등이 드러나지 않는다. ② ㉠은 전체가 현재이기 때문에 현재와 과거가 교차한다고 볼 수 없다. ④ ㉠은 인물의 외양을 묘사했을 뿐 배경을 묘사하지는 않았다. ⑤ ㉠은 흥부의 외양을 묘사한 부분이기 때문에 사건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서사 전개의 속도는 느낄 수 없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40. | (다)와 <보기>를 비교하여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2013년 11월) |
 1. | (다)와 <보기>는 동일한 음보율을 사용하여 리듬감을 살리고 있군. |
2. | (다)는<보기>와 달리 이질적 공간을 대비하여 주제를 드러내고 있군. |
3. | (다)에서는 침울한 분위기를, <보기>에서는 들뜬 분위기를 느낄 수 있군. |
4. | (다)의 ‘석양, 은 화자의 정서를 심화하는 배경으로, <보기>의 ‘석양’은 경치를 돋보이게 하는 배경으로 기능하고 있군. |
5. | (다)는 화자가 혼잣말을 하는 방식으로, <보기>는 화자가 청자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으로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고 있군.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작품 간의 공통점, 차이점 파악 [정답해설] (다)에 제시된 공간은 ‘만월대’를 비롯한 고려 왕궁터이며, 이와 대비되는 다른 공간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보기>에서는 ‘홍진(속세)’에 묻혀 사는 다른 이들과 ‘산림(숲)’에 묻혀 사는 자신을 대비하여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다)가 대비적으로 공간을 제시하고 <보기>가 그렇지 않다고 한 ②는 적절하지 않은 진술이다.
[오답피하기] ① (다)와 <보기>는 모두 4음보의 동일한 율격을 사용하고 있다. ③ (다)의 ‘눈물 겨워 하노라’에서 침울한 심정을, 봄을 맞이하여 자신을 ‘풍월주인(자연의 주인)’으로 묘사하는 <보기>에서는 들뜬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④ (다)의 ‘석양’은 이전 왕조의 멸망과 연관되어 화자의 정서를 심화하고 있으며, <보기>의 석양은 ‘도화행화(복숭아꽃, 살구꽃)’의 붉은 이미지와 시각적인 조화를 이루어 봄의 아름다움을 더하고 있다. ⑤ (다)의 시조에서는 ‘-로다’, ‘-노라’의 영탄적 어미를 사용하여 혼잣말을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보기>에서는 ‘홍진에 묻힌 분네’, ‘이 내 생애 어떠한고’와 같이 부르고 질문하며 말을 건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41. | (가)와 (나)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6월) |
1. | 유사한 시구를 점층적으로 변주하여 리듬감을 형성하고 있다. |
2. | 부정적 현실에 대해 거리를 두어 관조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
3. | 어린 화자의 목소리를 활용하여 동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
4. | 색감을 드러내는 시어를 활용하여 대상을 선명한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다. |
5. | 역설적 표현을 사용하여 모순적인 상황에 대한 반성적인 자세를 보여 주고 있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현대시 - (가) 고은, ‘성묘’ / (나) 서정주, ‘외할머니의 뒤안 툇마루’ [지문해설] : (가)는 분단에 대한 참담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남북통일에 대한 간절한 소망을 노래한 작품이다. 화자는 아버지의 무덤 옆에서 아직 남북통일이 되지 않은 현실을 알리고 있다. 화자의 아버지는 일제 시대 소금 장수로 전국을 돌며 소금을 팔았다. 그런 아버지가 다시 남북을 돌면서 소금을 팔 수 있도록 남북통일이 되기를 소망하는 것이다. [주제] 조국 분단의 한과 남북통일에 대한 염원 (나)는 산문의 형태의 시로, ‘외할머니네 집 뒤안 ~ 먹오딧빛 툇마루’라는 공간에 얽힌 유년 시절의 추억을 노래하고 있다. 그 툇마루는 외할머니뿐만 아니라 화자 어머니의 손때가 묻어 거울처럼 얼굴이 비치는 곳이다. 어머니에게서 꾸지람을 들은 화자에게 툇마루는 외할머니의 사랑과 보호로 위안과 치유의 공간으로 가슴 속에 남게 된다. 또한 툇마루를 통해 화자는 외할머니에 대한 그리움뿐만 아니라, 질책이 아닌 사랑과 포용으로 아이들을 가르치는 외할머니에 대한 신뢰도 보이고 있다. [주제] 외할머니에 대한 추억과 그리움
작품 간의 공통점 차이점 파악 [정답해설] (가)는 ‘저문 압록강의 붉은 물빛’, ‘하얀 소금’ 등 색감을 드러내는 시어를 통해 대상을 선명한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다. (나)도 ‘먹오딧빛 툇마루’에서 색감을 드러내는 시어를 활용하여 대상을 선명한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다.
[오답피하기] ① (가)의 1행, ‘아버지, 아직 남북통일이 되지 않았습니다.’와 21행 이후의 ‘아버지, 남북통일이 되면~’이 유사한 시구를 점층적으로 변주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나)에는 유사한 시구의 점층적 변주라고 할 만한 부분이 나타나지 않는다. ② (가)의 남북통일을 이루지 못한 상황을 부정적 현실로 볼 수 있으나, (나)는 부정적 현실이 나타난다고 보기 어렵다. 더구나 (가), (나) 모두 차분한 마음으로 대상을 바라보는 관조(觀照)의 태도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③ (나)는 어린 화자의 목소리를 활용하고 있지만, (가)는 아버지의 묘소에 성묘하러 간 인물이므로 성인으로 보는 것이 옳다. 더구나 (가)는 동화적 분위기가 아니다. ⑤ (가)와 (나) 모두 역설적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42. | ㉠의 문맥적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2014년 09월) |
1. | 나는 분을 이기지 못하고 울음을 터뜨렸다. |
2. | 친구는 제 몸을 이기지 못하고 비틀거렸다. |
3. | 형은 온갖 역경을 이기고 마침내 성공했다. |
4. | 우리 팀이 상대를 큰 차이로 이기고 우승했다. |
5. | 삼촌은 병을 이기고 마침내 건강을 회복하였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어휘 및 어구의 의미 이해 [정답해설] ㉠은 ‘감정이나 욕망, 흥취 따위를 억누르다.’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①의 ‘분을 이기지’에서 ‘분’은 ‘억울하고 원통한 마음’을 의미하므로, ‘이기지’는 ‘감정을 억누르지’의 의미에 해당한다.
[오답피하기] ②는 ‘몸을 곧추거나 가누다.’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③과 ⑤는 ‘고통 이나 고난을 참고 견디어 내다.’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④는 ‘내기나 시합, 싸움 따위에서 재주나 힘을 겨루어 승부를 내다.’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43. |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
1. | 과거를 회상하며 현재의 처지에 대해 탄식하고 있다. |
2. | 음보를 규칙적으로 사용하여 음악적 효과를 얻고 있다. |
3. | 대상에 감정을 이입하여 화자의 슬픔을 심화하고 있다. |
4. | 영탄적 어조를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
5. | 대구법을 사용하여 운명에 맞서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
정답 : [5]☜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 출전: 허난설헌, <규원가>
[출제의도] 표현상의 특징 파악하기 ‘소상야우의 댓잎 소리 섞여 도는 듯 화표 천년의 별학이 울고 있는 듯’과 같이 대구법이 사용되었지만, 녹기금 연주소리에 대한 표현일 뿐 운명에 맞서려는 의지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44. | [A]와 [B]의 말하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2014년 07월) |
1. | [A]와 [B]는 비유를 활용하여 상대를 치켜세우고 있다. |
2. | [A]와 [B]는 윤리적 도리를 내세워 상대를 질책하고 있다. |
3. | [A]는 [B]와 달리 앞으로 닥칠 부정적 상황을 암시하여 상대를 설득하고 있다. |
4. | [B]는 [A]와 달리 자신의 의도를 숨기며 말하고 있다. |
5. | [B]는 [A]와 달리 상황을 과장하여 상대의 잘못을 지적하고 있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문제 해설> [출제의도] 인물의 말하기 방식 파악하기 [A]에서 까치는 ‘전혀 사리를 알지 못하니 너 같은 놈이 어디 있을꼬’라며 무례한 비둘기를 직접 꾸짖고 있다. [B]에서 할미새는 증언을 피하기 위해 거짓으로 노망이 난 척하고 있다. |
|
| 아래는 공통 지문입니다. 공통지문은 별도 표기 합니다.
 |
|
45. | [A], [B]에 대한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2016년 11월) |
1. | [A]에서 '간담을 상응하여'는 상대방에 대한 경계심을, [B]에서 '뜰에 내려 북향하여'는 상대방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는군. |
2. | [A]에서 '우리들'은 '거기 사람'에게 인사로 차를 대접받고, [B]에서 '삼 사신' 일행은 '예부상서'를 통해 황상의 상을 하사받고 있군. |
3. | [A]에서 '필담'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수단을, [B]에서 '구고두'는 의례적 상황에서 감사를 표하는 공식적 예법을 나타내는군. |
4. | [A]에서 '글귀 절로 오락가락'은 난처한 상황이 해소되고 있음을, [B]에서 '비위가 뒤집혀서'는 난감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음을 드러내는군. |
5. | [A]의 '귀머거리 벙어린 듯'은 대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을, [B]의 '메밀떡에 밀다식에 겉밤' 등은 여러 가지 음식을 차려 놓은 상황을 알려 주는군.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9%
| <문제 해설> 감상의 적절성 평가 [정답해설] [A]의 '간담을 상응하여'는 상대방에게 마음을 터놓는 상황으로 경계심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며, [B]의 '뜰에 내려 북향하여'는 청나라 황제에게 사례하는 모습으로 상대방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다.
[오답피하기] ② [A]의 '거기 사람 처음 인사 차 한 그릇 갖다 준다'와 [B]의 '황상이상을 주사 예부상서 거행한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③ [A]에서는 '필담'을 통해 서로 간에 간곡한 정을 전달하고 있으며, [B]의 '구고두'는 청나라 시대에 황제에게 머리를 조아려 절하는 공식적 예법으로, 황상(황제)이 조선 사신 일행에게 상을 주고 잔치를 베풀어 주는 은혜에 의례적인 감사를 표하는 것이다. ④ [A]의 '글귀 절로 오락가락'은 필담을 통해 비로소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B]의 '비위가 뒤집혀서'는 푸짐한 잔칫상을 받았으나 막상 먹을 것이 없는 곤란한 상 황을 드러낸 것이다. ⑤ [A]의 '귀머거리 벙어린 듯'은 언어가 같지 않아 대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을, [B]의 '메밀떡에 밀다식에 겉밤'은 음식을 나열하여 잔칫상에 여러 가지 음식을 차려 놓은 상황을 알려 주고 있다. |
|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482036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국어영역, 모의평가,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