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화면은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기능중 일부인 문제와 답보기 화면입니다.

전자문제집 CBT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888680)


1과목 : 공조냉동안전관리


1.소화제로 물을 사용하는 이유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2010년 01월)
     1.산소를 잘 흡수하기 때문
     2.증발잠열이 크기 때문
     3.연소하지 않기 때문
     4.산소와 가열물질을 분리시키기 때문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9% 


2.고압가스 일반 제조시 저장탱크를 지하에 묻을 경우 기준에 맞지 않는 것은?(2006년 01월)
     1.저장탱크의 주위에 마른 모래를 채워둘 것
     2.지하에 묻는 저장탱크의 외면에는 부식방지 코팅을 할 것
     3.저장탱크를 묻는 곳의 주위에는 지상에 경계를 표시할 것
     4.저장탱크의 정상부와 지면과의 거리는 1m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다음 중 재해 조사 시에 유의하지 않아도 좋은 것은?(2004년 07월)
     1.주관적인 입장에서 정확하게 조사한다.
     2.재해발생 현장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사한다.
     3.재해현상을 사진이나 도면을 작성 기록해둔다.
     4.과거의 사고 경향을 참고하여 조사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근로자가 보호구를 선택 및 사용하기 위해 알아 두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1월)
     1.올바른 관리 및 보관방법
     2.보호구의 가격과 구입방법
     3.보호구의 종류와 성능
     4.올바른 사용(착용)방법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7% 


5.냉동 제조시설 중 압축기 최종단에 설치한 안전장치의 작동 점검실시 시 기준으로 옳은 것은?(2008년 10월)
     1.3월에 1회 이상
     2.6월에 1회 이상
     3.1년에 1회 이상
     4.2년에 1회 이상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6.기계 설비의 안전 조건에 들지 않는 것은?(2009년 09월)
     1.구조의 안전화
     2.설치상의 안전화
     3.기능의 안전화
     4.외형의 안전화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7.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격방지기를 사용하는데 전격 방지기는 무엇을 조정하는가?(2004년 10월)
     1.1차측 전류
     2.2차측 전류
     3.1차측 전압
     4.2차측 전압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8.교류 아크 용접기 사용시 안전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는 하나의 용접기에 대해서 2개의 개폐기로 할 것
     2.2차측 전로는 용접봉 케이블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할 것
     3.용접기의 외함은 접지하고 누전차단기를 설치할 것
     4.일정 조건하에서 용접기를 사용할 때는 자동전격방지장치를 사용할 것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0% 


9.와이어로프를 양중기에 사용해서는 아니 되는 기준으로 잘못된 것은?(2014년 04월)
     1.열과 전기충격에 의해 손상된 것
     2.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3.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 것
     4.이음매가 없는 것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1% 


10.온열원 발생장치인 보일러설비의 운전 중 보일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고사용압력과 상용압력사이에서 보일러의 버너연소를 차단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야 하는 안전장치는?(2010년 01월)
     1.압력제한 스위치
     2.안전밸브
     3.저압차단 스위치
     4.고압차단 스위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11.안전모가 내전압성을 가졌다는 말은 최대 몇 볼트의 전압에 견디는 것을 말하는가?(2013년 10월)
     1.600V
     2.720V
     3.1,000V
     4.7,000V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5% 


12.다음은 보일러의 수압시험을 하는 목적이다. 부적합한 것은?(2007년 09월)
     1.균열의 유무를 조사
     2.각종 덮개를 장치한 후의 기밀도 확인
     3.이음부의 누설정도 확인
     4.각종 스테이의 효력을 조사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3.아세틸렌의 누설검지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04월)
     1.비눗물
     2.촛불
     3.산소
     4.프레온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4.다음 중 암모니아 냉매가스의 누설검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6년 10월)
     1.붉은 리트머스 시험지가 청색으로 변한다.
     2.브라인에 누설될 때는 네슬러 시약을 이용해서 검사한다.
     3.헤라이트 토치를 사용해서 검사한다.
     4.염화수소와 반응시켜 흰 연기를 발생시켜 검사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0% 


15.방진 마스크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적당한 것은?(2013년 04월)
     1.안면에 밀착성이 좋아야 한다.
     2.여과효율은 불량해야 한다.
     3.흡기, 배기 저항이 커야 한다.
     4.시야는 가능한 한 좁아야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9% 



2과목 : 냉동기계


16.온도식 자동팽창밸브에 대하여 옳은 것은?(2007년 07월)
     1.증발기가 너무 길어 증발기의 출구에서 압력강하가 커지는 경우에는 내부 균압형을 사용한다.
     2.R-12를 사용하는 냉동기를 R-22 냉동기에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3.팽창밸브가 지나치게 적으면 압축기 흡입가스의 과열도가 크게 된다.
     4.냉매의 유량은 증발기 입구 냉매가스 과열도에 제어된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17.냉매 배관의 시공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2011년 07월)
     1.기기 상호간의 길이는 가능한 길게 한다.
     2.관의 가공에 의한 재질의 변질을 최소화 한다.
     3.압력손실을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한다.
     4.냉매의 온도와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4% 


18.냉동장치에서 압력과 온도를 낮추고 동시에 증발기 로 유입 되 는 냉매량을 조절해 주는 장치는?(2016년 01월)
     1.수액기
     2.압축기
     3.응축기
     4.팽창밸브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4% 


19.다음 그림과 같이 20A 강관을 45° 엘보에 나사 연결할 때 관의 실제소요길이는 약 얼마인가? (단, 엘보중심 길이 25㎜, 나사물림 길이 13㎜이다.)(2012년 04월)

    

     1.255.8㎜
     2.258.8㎜
     3.274.8㎜
     4.282.8㎜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1% 


20.습포화 증기에 관한 사항 중 올바른 것은?(2004년 10월)
     1.가열하면 과열증기, 포화증기 순으로 된다.
     2.냉각하면 건조포화 증기가 된다.
     3.습포화 증기 중 액체가 차지하는 질량비를 습도라 한다.
     4.대기압 하에서 습포화 증기의 온도는 98℃ 정도이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1.팽창밸브의 선정시 고려할 사항 중 관계없는 것은?(2008년 07월)
     1.관두께
     2.냉동능력
     3.사용냉매 종류
     4.증발기의 형식 및 크기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2.2단 압축 냉동장치에 있어서 다음 사항 중 옳은 것은?(2006년 10월)
     1.고단측 압축기와 저단측 압축기의 피스톤 압출량을 비교하면 저단측이 크다.
     2.냉매 순환량은 저단측 압축기 쪽이 크다.
     3.2단 압축은 압축비와 관계없이 단단 압축에 비해 유리하다.
     4.2단 압축은 R-22 및 R-12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3.프레온 누설 검사 중 헬라이드 토치 시험에서 냉매가 다량으로 누설될 때 변화된 불꽃의 색깔은?(2014년 10월)
     1.청색
     2.녹색
     3.노랑
     4.자색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6% 


24.제빙용으로 적당한 증발기는?(2006년 10월)
     1.플레이트식 증발기
     2.헤링본식 증발기
     3.셀튜브식 건식증발기
     4.팬코일식 증발기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5.얼음두께 280㎜, 브라인온도 -9℃일 때 결빙에 소요되는 시간은?(2006년 10월)
     1.약 25시간
     2.약 49시간
     3.약 60시간
     4.약 75시간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6.할로겐화탄화수소 냉매가 아닌 것은?(2013년 07월)
     1.R – 114
     2.R - 115
     3.R – 134a
     4.R - 717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27.증기 압축식 냉동기와 흡수식 냉동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12년 07월)
     1.증기를 값싸게 얻을 수 있는 장소에서는 흡수식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2.냉매를 압축하기 위해 압축식에서는 기계적 에너지를 흡수식에서는 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한다.
     3.흡수식에 비해 압축식이 열효율이 높다.
     4.동일한 냉동능력을 갖기 위해서 흡수식은 압축식에 비해 장치가 커진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8% 


28.만액식 증발기에서 전열을 좋게 하는 조건 중 틀린 것은?(2008년 03월)
     1.냉각관이 냉매 액에 잠겨 있거나 접촉해 있을 것
     2.관 간격이 넓을 것
     3.유막이 존재하지 않을 것
     4.평균온도차가 클 것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29.나사식 강관 이음쇠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9년 03월)
     1.소구경(小口經)이고 저압의 파이프에 사용한다.
     2.충격, 진동, 부식 등이 생기 우려가 있는 곳에 사용한다.
     3.저압 대구경의 파이프에 사용한다.
     4.파이프의 분기점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6% 


30.0℃의 얼음 3.5kg을 용해 시 필요한 장열은 약 몇 kcal인가?(2012년 10월)
     1.245
     2.280
     3.326
     4.630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문제 해설>
3.5x80 = 280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필리핀외노자]


31.영국의 마력 1[HP]를 열량으로 환산할 때 맞는 것은?(2007년 09월)
     1.102[kcal/h]
     2.632[kcal/h]
     3.860[kcal/h]
     4.641[kcal/h]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2.단단 증기압축기 냉동사이클에서 건조압축과 비교하여 과열압축이 일어날 경우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2015년 01월)
     1.압축기 소비동력이 커진다.
     2.비체적이 커진다.
     3.냉매 순환량이 증가한다.
     4.토출가스의 온도가 높아진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1% 


33.다음 보기 중 브라인의 구비 조건으로 적절한 것은?(2014년 07월)

    

     1.㉠, ㉡
     2.㉠, ㉢
     3.㉡, ㉢
     4.㉠,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9% 


34.압력과 온도를 동시에 낮추어 주는 곳은?(2008년 02월)
     1.증발기
     2.압축기
     3.응축기
     4.팽창밸브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5.압축기 체적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2011년 04월)
     1.격간(clearance) 용적
     2.전동기의 슬립효율
     3.실린더 과열
     4.흡입밸브의 저항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0% 


36.다음 중 비등점이 가장 높은 것은? (단, 대기압에서)(2006년 07월)
     1.NH3
     2.CO2
     3.R-502
     4.SO2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7.냉동관련 설명에 대한 내용 중에서 잘못된 것은?(2013년 07월)
     1.1 Btu란 물 1lb를 1˚F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2.1 kcal란 물 1kg를 1℃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3.1 Btu는 3.968 kcal에 해당된다.
     4.기체에서 정압비열은 정적비열보다 크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9% 


38.가스엔진 구동형 열펌프(GHP)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폐열의 유효이용으로 외기온도 저하에 따른 난방능력의 저하를 보충한다.
     2.소음 및 진동이 없다.
     3.제상운전이 필요 없다.
     4.난방 시 기동 특성이 빨라 쾌적난방이 가능하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4% 


39.일반적으로 보온재와 보냉재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맞는 것은?(2010년 07월)
     1.사용압력
     2.내화도
     3.열전도율
     4.안전사용 온도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40.다음 중 냉동능력의 단위로 옳은 것은?(2011년 02월)
     1.kcl/kg·m2
     2.kJ/h
     3.m3/h
     4.kcal/kg℃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5% 


41.냉매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맞는 것은?(2005년 04월)
     1.NH3는 R-22보다 열전도가 양호하다.
     2.NH3는 R-22보다 배관저항이 크다.
     3.NH3는 R-22보다 내구성이 우수하다.
     4.NH3는 R-22보다 냉동효과가 작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2.응축온도가 13℃이고, 증발온도가 -13℃인 이론적 냉동 사이클에서 냉동기의 성적 계수는 얼마인가?(2007년 09월)
     1.0.5
     2.2
     3.5
     4.10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3.응축 온도가 13℃이고, 증발온도가 –13℃인 이론적 냉동 사이클에서 냉동기의 성적 계수는?(2014년 07월)
     1.0.5
     2.2
     3.5
     4.10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2% 
     <문제 해설>
이론적 냉동사이클은 이상적 냉동사이클이라고 생각하면 공식이    cop= 증발온도/ 응축-증발 이므로 260/286-260= 10입니다.
[해설작성자 : 냉동능력자]


44.안산암, 현무암 등에 석회석을 섞어 용해하여 만든 무기질 단열재로서 400℃ 이하의 파이프, 덕트, 탱크 등의 보온재로 사용되는 것은?(2005년 04월)
     1.탄산마그네슘
     2.규조토
     3.석면
     4.암면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5.열펌프(Heat Pump)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0년 03월)
     1.압축기
     2.열교환기
     3.4방 밸브
     4.보조 냉방기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3과목 : 공기조화


46.팬코일 유닛방식(fan coil unit system)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1년 02월)
     1.고도의 실내 청정도를 높일 수 있다.
     2.부하 증가 시 유닛 증설만으로 대처할 수 있다.
     3.다수 유닛이 분산 설치되어 관리보수가 어렵다.
     4.각 유닛마다 조절할 수 있어 개별 제어에 적합하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7% 


47.100℃ 물의 증발 잠열은 몇 kcal/kg인가?(2008년 07월)
     1.539
     2.600
     3.627
     4.70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8.다음의 공기조화 방식 중에서 개별방식이 아닌 것은?(2004년 10월)
     1.룸 쿨러
     2.멀티 유닛형 룸 쿨러
     3.패키지 방식
     4.팬 코일 유닛방식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49.현열교환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0년 03월)
     1.보건 공조용으로 사용한다.
     2.연도배기 가스의 열회수용으로 사용한다.
     3.회전형과 히트파이프가 있다.
     4.산업용 공조에 주로 사용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0.실내 현열 손실량이 5000kcal/b일 때, 실내온도를 20℃로 유지하기 위해 36℃ 공기 및 m3/h를 실내로 송풍해야 하는가? (단, 공기의 비중량은 1.2kgf/m3, 정압비열은 0.24kcaI/kg·℃이다.)(2016년 04월)
     1.985m3/h
     2.1085m3/h
     3.1250m3/h
     4.1350m3/h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3% 
     <문제 해설>
정압비열 6.24x => 0.24


51.5℃인 450㎏/h의 공기를 65℃가 될 때까지 가열기로 가열하는 경우 필요한 열량은 몇 kcal/h 인가? (단, 공기의 비열은 0.24kcal/㎏℃이다.)(2005년 07월)
     1.6480
     2.6490
     3.6580
     4.6590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2.복사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7월)
     1.설비비가 적게 든다.
     2.매립 코일이 고장나면 수리가 어렵다.
     3.외기침입이 있는 곳에도 난방감을 얻을 수 있다.
     4.실내의 벽, 바닥 등을 가열하여 평균복사온도를 상승시키는 방법이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6% 


53.보일러를 구성하는 3대요소가 아닌 것은?(2006년 07월)
     1.세정장치
     2.보일러 본체
     3.부속기기
     4.부속장치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4.환수주관을 보일러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관 하는 것은?(2016년 01월)
     1.강제순환식
     2.건식환수관식
     3.습식환수관식
     4.진공환수관식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8% 


55.온수난방 설비에서 고온수식과 저온수식의 기준온도는 몇 ℃인가?(2004년 07월)
     1.50
     2.80
     3.100
     4.150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56.겨울철 창면을 따라서 존재하는 냉기에 의해 외기와 접한 창면에 존재하는 사람은 더욱 추위를 느끼게 되는 현상을 콜드 드래프트라 한다. 다음 중 콜드 드래프트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09년 01월)
     1.인체 주위의 온도가 너무 낮을 때
     2.주위벽면의 온도가 너무 낮을 때
     3.창문의 틈새가 많을 때
     4.인체 주위 기류 속도가 너무 느릴 때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9% 


57.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12년 10월)
     1.벽면의 온도를 올려준다.
     2.다습한 외기를 도입한다.
     3.벽면을 단열 시킨다.
     4.강제로 온풍을 해 준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6% 


58.클린룸(병원 수술실 등)의 공기조화 시 가장 중요시 해야 할 사항은?(2012년 10월)
     1.공기의 청정도
     2.공기 소음
     3.기류속도
     4.공기 압력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92% 


59.외기온도 -5℃, 실내온도 18℃, 벽면적 15m2인 벽체를 통한 손실 열량은 몇 kcal/h인가? (단, 벽체의 열통과율은 1.30kcal/m2h℃이며, 방위계수는 무시한다.)(2012년 10월)
     1.448.5
     2.529
     3.645
     4.756.5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8% 


60.다음 중 대규모 건축물에서 중앙공조방식이 개별공조방식 보다 우수한 점은?(2005년 04월)
     1.유지관리가 편리하다.
     2.개별제어가 쉽다.
     3.국소운전이 편리하다.
     4.조닝이 쉽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888868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Posted by *좋은아빠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