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54690)
1. | 다음 중 최근 운영체제 동향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
1. |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
2. | 개방적 운영체제에서 폐쇄적 운영체제로 바뀌고 있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2%
| <문제 해설> ※최근 운영체제의 주요 특징 - 개방형 운영체제화 - 가상화 메모리 지원 - 뛰어난 이식성 . . . 등등
[해설작성자 : 고명국] |
|
2. | 리눅스에서 강력하게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며, 인터넷의 기본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91%
|
3. | 다음 중 운영체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
1. | 다중교환(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되나 포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하는 형태 |
2. | 단일작업(Single-tasking) : 컴퓨터가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하는 형태 |
3. | 대화형처리(Interactive Processing) : 다수의 사용자가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처리하는 형태 |
4. | 일괄처리(Batch Processing) : 여러 개의 작업을 묶어 한꺼번에 처리하는 형태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6%
| <문제 해설> - 다중 작업(multi-tasking) :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 - 실시간 처리(Real Time Processing) : 작업의 처리가 지연없이 즉각적으로 처리 됨. - 다중 교환(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되나 포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 - 다중 사용자(Multi-User) :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여러 사용자의 프로그램이 실행됨. - 대화형 처리(interactive Processing) :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대화형으로 작업을 처리하는 것으로 시분할 처리 기능이 필요. - 일괄 처리(batch Processing) : 여러 개의 작업을 묶어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으로 작업 처리 효율이 높다 |
|
4. | 다음에서 설명하는 공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5%
| <문제 해설> 무료이용 배포 소스코드 2차적 독점...결합 GPL O O O O X LGPL O O O O O MPL O O O O O BSD O O O X O Apache O O O X O
출처 : http://www.oss.kr/oss_intro06 [해설작성자 : 고복수] |
|
5. | 다음 중 2000년 8월 인텔, IBM, 후지쯔 등의 출자를 통해 설립된, 기업 환경에 맞는 리눅스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리눅스 법인은?(2007년 05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4%
|
6. | 다음 중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를 여러개의 하드디스크에 분산 또는 중복시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기술은?(2007년 05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 | 리눅스를 구성하는 요소 중 사용자의 명령을 해독하는 기능을 하는 것은?(2010년 03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87%
| <문제 해설> Shell - 운영체제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을 읽고 해석하여 대신 실행해주는 프로그램
Compiler - 특정 프로그램 언어로 작성된 문장을 처리하여 기게어 또는 컴퓨터가 사용할 수 있는 코드로 변경시켜주는 프로그램
Debug - 원래는 '해충을 잡다'라는 뜻, 프로그램의 오류를 벌레에 비유하여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일
Interrupt -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 하고 있을 때 예외상황이 발생하여 처리가 필요할 경우 처리하는 것 [해설작성자 : 정재희] |
|
8. | 다음 중 텍스트 환경에서 커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실행되는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 유틸리티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 <문제 해설> ntsysv : 커서와 스페이스 키를 이용해서 사용할 서비스 체크. chkconfig : chkconfig 명령어로 service를 on/off 시킬 수 있다. service : 현재 실행중인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
|
9. | 다음은 무엇을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인가?(2007년 03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
10. | 다음은 X윈도우가 구동되는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각 항목이 올바로 짝지어진 것은?(2003년 01월) |
 1. | (가) .Xmodmap (나) .Xresources (다) Server (라) xinit |
2. | (가) .Xresources (나) xdm (다) xinit (라) .Xmodmap |
3. | (가) .Xresources (나) .Xmodmap (다) xinit (라) XF86config |
4. | (가) .Xmodmap (나) xdm (다) Server (라) xinit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1. | 윈도우 매니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9월) |
1. | 윈도우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 GUI를 제공 한다. |
2. | 메뉴판 구성, 스크롤바, 아이콘, 마우스버튼의 작동을 결정한다. |
3. | 종류는 twm, fvwm, WindowsMaker, konqueror, 노틸러스가 있다. |
4. | 모든 사용자를 위한 기본 윈도우 매니저를 설정하려면 /etc/sysconfig/desktop 파일을 편집 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
12. |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쉘과 그 설명이 가장 알맞게 설명된 것은?(2008년 03월) |
1. | Bourne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sh 이며, 오랜 시간 동안 모든 유닉스 시스템의 표준 구성요소이지만 C쉘이나 콘 쉘과 비교해 보았을때 기능적인 면에서 미흡하다. |
2. | C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csh 이며, C 언어로 제작된 쉘로서 현재 리눅스 배포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
3. | Bash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bash 이며, csh 호환의 명령언어 해석기로서 현존하는 다양한 쉘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쉘이다. |
4. | Korn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ksh 이며, 사용이 편리하고 기능이 탁월한 장점이 있으나 명령행 편집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c shell, bourne shell 등과 호환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6%
|
13. | 다음 중 bash 쉘에서 사용되는 특수 문자와 그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3월) |
1. | > 표준 출력을 파일 끝에 덧붙이는 출력 리다이렉션 기호 |
2. | ? 0개 이상의 문자와 일치하는 파일 치환 대표 문자 기호 |
3. | ; 어떤 프로세스의 출력을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으로 보내는 파이프 기호 |
4. | < 파일로부터 표준 입력을 읽는 입력 리다이렉션 기호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4%
|
14. | 입력값이 ‘d’또는 ‘D’인 경우 읽어들인 filename에 해당하는 파일을 삭제하는 쉘 프로그램이다.다음 중 틀린 부분은 무엇인가?(2010년 03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6%
|
15. | 시스템 재부팅 시에도 텔넷 서비스가 사용가능하도록 설정하려고 한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9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6%
|
16. | LAN 간을 상호 접속해 주는 연결 장치로서 제2계층(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는?(2007년 08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7. | OSI 7 계층(Layer)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2년 09월) |
1. | 세계 표준화 기구(ISO)에서 제정한 것으로 네트워크 상호 호환을 위해 시스템간의 통신에 있어서 요구 또는 고려되는 사항들을 정리, 추상화한 모델이다. |
2. | TCP/IP는 OSI 7 계층(Layer)에서 전송계층에 속한다. |
3. | ARP, ICMP는 OSI 7 계층(Layer)에서 네트워크계층에 속한다. |
4. | HTTP, SMTP, FTP는 OSI 7 계층(Layer)에서 응용계층에 속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7%
| <문제 해설> TCP는 전송계층, IP는 네트워크계층에 속합니다. [해설작성자 : HOON] |
|
18. | DNS 서버가 없는 환경에서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telnet www.ihd.or.kr 명령어가 제대로 동작되도록 할 경우 가장 관련이 깊은 설정 파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6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
19. | 다음 설명 중 넷마스크의 역할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
1. |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
4. | 자기 자신을 가리키며 루프 백 주소로도 칭한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6%
|
20. |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 하는 명령어와 관련이 없는 것은?(2009년 03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3%
|
21. | 다음 중 루트(root)사용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
1. | 루트 사용자는 파일에 대한 소유여부에 관계 없이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과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다. |
2. | 루트 사용자의 실수로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
3. | 루트 사용자가 다시 “root”로 로그인하면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 |
4. | 루트 사용자는 시스템을 제한 없이 운영할 수 있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4%
|
22. |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의 관리자 신분확인 정보를 볼 수 있는 명령어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
23. | 명령어 who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
1. | -b : 마지막으로 부트한 시간을 출력한다. |
2. | -r : 현재 runlevel의 값을 출력한다. |
3. | -q : 호스트 이름과 사용자 목록을 출력한다. |
4. | -u : 로그인 중인 사용자 목록을 출력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2%
|
24. | 다음 조건과 같을 경우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6년 09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9%
|
25. |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만료 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은?(2003년 06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26. | 다음 명령의 결과에 대한 내용 중 가장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
 1. | text.txt 파일이 /dev/lp0 파일로 복사된다. |
2. | 연결된 장치로 text.txt 파일의 내용이 출력된다. |
3. | /dev/lp0 파일의 권한은 0666으로 추정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0%
|
27. | 다음 중 "cd /var/lib/games" 명령 수행 후 최상위 “/” 경로로 이동이 가능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3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8%
|
28. | 다음 kill 명령의 시그널 중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시키는 시그널로 알맞은 것은?(2015년 03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
29. | 다음은 특정한 파일에 대한 정보이다. 이에 대한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
 3. | 이 장치와 연결되면 DMA채널을 이용하여 통신 한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0%
|
30. | 다음과 같이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되어 있을 때 /mnt/disk1에 마운트 되어 있는 /dev/hdb1을 언 마운트 할 수 없는 명령은?(2011년 03월) |
 3. | mount -o unmount /dev/hdb1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3%
|
31. | 다음 중 /dev/hdb1을 리눅스 파일시스템으로 만들기 위해서 사용하는 명령어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2011년 03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7%
|
32. | 시스템 관리자인 홍길동은 리눅스 시스템의 보안을 위해 패스워드를 변경하고자 한다. 다음중 패스워드를 주기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1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 <문제 해설> 보기의 명령어 사용처 chsh : 로그인 쉘 변경 chage : 사용자 비밀번호 만료일 정보 변경 chmod : 파일 접근 권한 변경 chpasswd : 대량의 유저 비밀번호 변경 [해설작성자 : 미나리나물] |
|
33. |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읽어서 해석하는 프로그램으로 명령어 해석기(Command Processor)라고 불리는 것은?(2006년 09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4. | 다음 중 파일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9년 09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6%
|
35. | 다음 중 리눅스 커널이 로딩될 당시 최초의 프로세스는 어느 것인가?(2007년 08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36. | 다음 RPM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3월) |
1. | RPM은 레드햇 배포판에서만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툴이다. |
2. | RPM을 사용하면 좀 더 편리하게 패키지를 설치/제거할 수 있다. |
3. | RPM은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이다. |
4. | GPL(GNU General Public License)하에서 자유롭게 공개, 개발되고 있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9%
|
37. | 다음 중 yum 명령으로 music이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패키지를 찾으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1%
|
38. |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9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3%
|
39. | gcc를 이용하여 foo.c,bar.c두 개의 파일을 컴파일해서 result라는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으로 올바른 것은?(2010년 03월) |
1. | gcc -o resultfoo.c bar.c |
2. | gcc -r resultfoo.c bar.c |
3. | gcc foo.c+bar.c > result |
4. | gcc foo.c bar.c> result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7%
|
40. | 리눅스의 serial port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9월) |
1. | 표준 serial 포트는 /dev/ttyS0부터 3까지 지원한다. |
2. | ttyS0 과 ttyS2 는 IRQ 를 공유한다. |
3. | ttyS1 과 ttyS3 은 IRQ 를 공유한다. |
4. | /sbin/serialset 명령을 이용하면, serial 관련 설정이 가능하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1. | 리눅스의 장치 드라이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03년 01월) |
1. | 리눅스의 장치 드라이버는 대부분 상용 소프트웨어이다. |
2. | 리눅스의 장치 드라이버는 크게 블록 장치 드라이버, 문자 장치 드라이버,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
3. | Windows NT의 장치 드라이버는 리눅스 커널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4. | 리눅스 커널 2.4에서도 USB는 전혀 지원되지 않고 있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2. | 다음 중 커널모듈을 로드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3%
| <문제 해설> modprobe = 모듈을 로드할 때 사용합니다. lsmod = 로드된 모듈을 나열합니다. rmmod = 모듈을 삭제합니다. [해설작성자 : gdn] |
|
43. | 다음 중 커널 컴파일 환경 설정을 위한 명령어 인터페이스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2%
|
44. | cron 명령이 필요에 따라 실행결과를 사용자에게 메일로 보내기 위한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
1. | /etc/crontab 파일의 ADMIN-E-MAIL 필드에 메일을 받을 사용자 이메일 주소를 지정한다. |
2. | /etc/crontab 파일의 MAILTO 필드에 메일을 받을 사용자 이메일 주소를 지정한다. |
3. | crontab -e 명령을 실행하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이메일을 보낼 사용자 주소를 묻는 데 그 때 입력한다. |
4. | crond 데몬을 실행하는 rc.local 의 ADMIN-EMAIL 필드에 메일을 받을 사용자 이메일 주소를 지정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4%
|
45. | 다음은 ps 명령 실행 후 결과의 일부이다.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는 것은?(2008년 08월) |
 2. | 프로세스의 번호(PID)는 5515 이다. |
4. | 프로세스의 실제 파일은 /usr/local/apache/bin/httpd 이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6%
|
46. | 현재 USB 버스에 연결된 장치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5%
| <문제 해설> 2. /proc/bus/pci - PCI(Pnp를 지원하는 시스템 버스)에 관한 정보 3. /dev/usbmouse - X 4. /proc/dma - DMA(메모리와 주변 디바이스간의 데이터를 전송)의 채널 정보 [해설작성자 : 정재희] |
|
47. | 다음 중 커널에서 제공하는 파일 시스템 정보를 확인 할 때 참고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4%
|
48. | 아래 나열된 장치명(Device nam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9월) |
1. | hda1은 첫번째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 이다. |
2. | sda1은 SCSI 장치중 ID 값이 제일 우선인 하드디스크를 의미한다. |
3. | ttyS0 는 Windows 의 Comport 1과 동일하다. |
4. | pts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심볼릭 링크이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49. | 다음 커널과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4년 10월) |
1. | 로드된 리눅스 모듈은 다른 커널 코드와 완전히 분리된 부분이다. |
2. | 모듈을 로드한 후에는 완전한 동작을 위해 재부팅을 해야 한다. |
3. | 모듈을 필요할 때마다 로드하는 것을 요구시 로딩(Demand Loading)이라 한다. |
4. | 로드된 모듈은 커널 코드와는 다른 권한과 책임을 가진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50. | PNP가 지원되지 않는 사운드 카드를 설정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정보 중 틀린 것은?(2008년 01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8%
| <문제 해설> PNP를 지원하지 않는 사운드 카드(최근 사카는 이딴거 없음. PNP 안되는 카드는 폐기!) 를 설치할 때 필요한 정보는? I/O 포트, IRQ, DMA 의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미나리나물] |
|
51. | 다음 중 리눅스 관련 로그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
1. | /var/log/wtmp :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정보만기록 |
2. | /var/log/secure : 사용자의 마지막 로그인 기록 |
3. | /var/log/cron : 사용자들의 로그인/로그아웃 기록 |
4. | /var/log/dmesg : 시스템이 부팅할 때 보이는 시스템 정보 메세지 기록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8%
|
52. | 다음 중 syslogd 데몬이 사용하는 설정 파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
3. | /etc/sysconfig/syslog.conf |
4. | /etc/sysconfig/syslogd.conf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3%
|
53. | 시스템 로그 데몬인 syslogd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9월) |
1. | /etc/syslogd.conf - 로그데몬의 설정 파일 |
2. | /sbin/syslog - 로그 데몬의 위치 및 데몬 프로그램 |
3. | /var/run/syslogd.pid - 시스템 로그 데몬의 PID 파일 |
4. | /etc/rc.d/init.d/syslog start - 로그 데몬 실행 방법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 <문제 해설> /sbin/syslogd 에 데몬이 위치한다. [해설작성자 : KTH] |
|
54. | 아래의 명령은 무엇을 실행하기 위한 것인가?(2006년 09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55. | 다음 중 보안 관련 도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
2. | ssh : 키 방식의 암호 방식을 사용하여 원격지 시스템에 평문 메세지 전송. |
3. | iptables : 호스트 접근 제어, 커널 내부 모듈 형태로 패킷 필터링. |
4. | tcp_warppers : 호스트 접근 제어, /etc/hosts.allow, /etc/hosts.deny 파일 사용.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7%
| <문제 해설> 평문 (x) --> 암호화 (o) [해설작성자 : KTH] |
|
56. | 시스템 관리자가 사용자로 하여금 정상적으로 루트 권한을 가지고 프로그램들을 실행 할 수 있게 하도록 허용해주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0%
|
57. | 다음 중 PAM 구성 파일에서 사용하는 토큰 중에서 모듈을 이용하는 인증이 실패한 경우 인증을 거부하기 위해 사용하는 토큰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2%
| <문제 해설> requisite ; 인증 성공하면 다음 인증과정 진행, 인증이 실패하면 즉시 인증 거부(다음 인증과정 없음.)
required : 인증 성공하면 다음 인증과정 진행, 인증에 실패해도 다음 인증과정을 거치지만 이후의 인증모듈에 상관없이 인증실패로 결과를 갖는다.
sufficient : 인증성공하면 중단 실패하면 다음 인증 모듈 수행.
optional : 서비스의 형식에 따라 인증 허용. [해설작성자 : lss] |
|
58. | 다음 중 백업 대상으로 고려할 디렉토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3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1%
|
59. | 시스템의 백업을 위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9월) |
2. | 백업 테이프는 자주 사용하므로 쓰기 방지를 할 필요가 없다. |
3. | 백업 테이프는 가급적 컴퓨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보관하자. |
4. | 자료 가치에 따라 다른 백업 전략을 취하라.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9%
|
60. | 리눅스에서 백업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2007년 05월) |
1. | taper - 테이프 드라이브만 지원한다. |
2. | cpio - 테이프 드라이브에 파 일 백업/복구 기능을 제공하는 친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3. | rdist - 클러스터에서 전체 노드의 저장 장치를 동일하게 유지시켜 준다. |
4. | dump - 여러 개의 테이프에 백업 할 수 없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1. | CGI(Common Gateway Interface)는 데이터 베이스를 웹에 연동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초기에는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점차 다른 솔루션 등으로 많이 교체되고 있다. CGI 가 점차 사용량이 줄어가는 이유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2007년 03월) |
1. | 프로세스의 생성과 초기화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
2. | 여러 개의 CGI 스크립트를 계속해서 동작시키면 프로세스가 많이 생성된다. |
3. | CGI 구현에 사용가능한 언어가 C 와 Perl 로 제한적이다. |
4. | 대용량 서비스 구현 시 서버내의 메모리 자원의 부족을 야기할 수 있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5%
|
62. | 저렴한 비용으로 회사 홈페이지를 구축하기 위하여 리눅스 환경에 Apache 웹 서버와 PHP, MySQL을 설치하였다. 이를 선택한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3월) |
1. | MySQL은 공개된 객체지향형 데이터베이스이다. |
2. | Apache는 리눅스 배포판에서 대부분 RPM 패키지로 제공되어 구하기 쉽고, 매우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
3. | PHP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연동 API를 지원하고 있다. |
4. | PHP와 MySQL을 이용하여 동적인 HTML 구현이 가능하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0%
|
63. | 다음 중 웹 디렉토리에 접근시 가장 먼저 인식 되는 파일명을 index.htm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httpd.conf에서 설정해야 할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6%
|
64. | 아파치를 소스 컴파일하여 특정 디렉토리(/usr/local/apache/)에 설치하였다.설치된 경로 아래 생성된 디렉토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
1. | bin/ : 아파치 서버프로그램,유틸리티 등의 실행 파일이 들어가 있다. |
2. | cgi-bin/ : CGI 스크립트 프로그램 및 PID 파일이 위치한다. |
3. | icons/ : 아파치 서버에서 사용하는 아이콘들이 들어 있다. |
4. | logs/ : 아파치 로그 파일이 저장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6%
|
65. | 다음 중 웹 서버에 JSP(Java Server Page)를 사용하기 위해 설치하는 프로그램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3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7%
| <문제 해설> jsp를 사용하는 이유는 동적으로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브러우저는 동적페이지(jsp)를 이해하지 못하며 정적페이지(html)를 이해하고, 화면에 보여준다. 그래서 단순 코딩한 jsp를 브라우저에서 볼 수 없다. 그러면 jsp를 html로 변환해야 한다. tomcat 같은 jsp 컨테이너가 이 역할을 한다. 그래서 tomcat같은 서버를 설치해야 한다. ( 내부적으로 jsp는 servlet이라고 불리는 자바 클래스파일로 변환되고 이를 바탕으로 html페이지가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ㄱㅇㄷ] |
|
66. | 아래와 같은 설정을 가지고 있는 www.foo.com 아파치 웹 서버에 대해 ‘http://www.foo.com/~bob/one/two.html’ 요청을 했을 때 실제로 접근되는 파일은?(2004년 05월) |
 1. | ~bob/public_html/one/two.html |
4. | /home/bob/www/one/two.html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7. | 다음은 PHP가 동작하는 과정을 순서없이 나열한 것이다. 순서대로 나열한 것 중 알맞은 것은?(2005년 09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68. | 다음 중 NIS 서버에서 각종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맵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토리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5%
|
69. | 삼바 서버 데몬인 smbd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4년 05월) |
1. | smb는 server message block의 약어이다. |
3. | 클라이언트 요청이 들어오면 새로운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담당하게 한다. |
4. | 클라이언트 연결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루트의 권한으로 서비스하게 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0. | 다음은 NIS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는 과정이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3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36%
| <문제 해설> ypcat 1) 설명: NIS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로 NIS 서버의 데이타베이스라고 할 수 있는 맵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이다. 2) 사용법 ypcat 맵파일 => NIS 서버의 맵파일 정보를 보여준다. 맵파일의 확인은 'ypwhich -m' 명령을 이용한다. 3) 사용법 ㄱ. [root@linux246 root]# ypcat hosts.byname => 호스트관련정보를 보여준다. ㄴ. [root@linux246 root]# ypcat passwd.byname => NIS 서버의 사용자관련 정보를 보여준다. [해설작성자 : ㄱㅇㄷ] |
|
71. | 삼바(Samba)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3년 06월) |
1. | 삼바는 SMB 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Server Message Block의 약어이다. |
2. | 삼바는 윈도우즈 클라이언트가 유닉스 서버에 있는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
3. | 삼바는 TCP/IP 프로토콜 상에서 NetBEUI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
4. | SWAT은 삼바를 설정하는 도구로서 901번 포트를 사용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2. | Samba 서버의 설정 파일 smb.conf 파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시자가 아닌 것은?(2005년 03월) |
2. | server string = Samba Server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3. | 다음 /etc/exports 파일에 설정하는 옵션중에 root를 포함하여 모든 사용자의 권한을 nobody(또는 nfsnobody) 권한으로 변경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 <문제 해설> root_squash : 클라이언트의 root를 서버의 nobody 사용자로 매핑 no_root_squash : 클라이언트의 root와 서버의 root를 동일하게 설정 all_squash : 모든 사용자의 권한을 nobody로 권한으로 변경 no_all_squash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하나의 권한을 가짐 |
|
74. | 다음은 NFS 서버에서 공유가 설정된 디렉토리 및 클라이언트를 확인하는 명령이다. ( 괄호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1%
| <문제 해설> showmount : NFS Server에 NFS Client가 접속해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체크하는 명령어 [해설작성자 : 나나] |
|
75. | NFS는 TCP Wrapper를 이용하여 /etc/hosts.allow와 /etc/hosts.deny 파일에서 접근 제어가 가능하다. 이 파일에 사용하는 데몬 이름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
76. | 다음과 같이 메일 서버를 사용하여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메일을 보내려 한다. 다음 ( )안에 들어갈 프로토콜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순서대로 (ㄱ), (ㄴ), (ㄷ))(2007년 05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77. |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FTP 서버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9년 09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4%
|
78. | FTP 서버에서 사용하는 기본 포트번호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79%
|
79. | POP3 서버의 정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telnet 명령을 이용하여 확인 할 수 있다.다음 ( )안에 들어갈 POP3 명령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0년 03월) |
 1. | (ㄱ) user, (ㄴ) pass, (ㄷ) list, (ㄹ),retr |
2. | (ㄱ) user, (ㄴ) password, (ㄷ) ls, (ㄹ),ret |
3. | (ㄱ) name, (ㄴ) passwd, (ㄷ) ls, (ㄹ) ret |
4. | (ㄱ) name, (ㄴ) passwd, (ㄷ) ls, (ㄹ)retr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
80. | 다음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
 1. | PGP(Pretty Good Privacy) |
2. | PEM(Privacy Enhanced Mail) |
4. | IMAP(Interactive Mail Access Protocol)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1%
|
81. | 다음 명령의 실행 결과에 대해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2003년 06월) |
 1. | Sendmail을 통하여 발송된 메일이 없음을 확인하고 있다. |
2. | 시스템에 ihd 계정으로 전달된 메일이 없음을 확인 하고 있다. |
3. | ihd라는 이름을 가진 호스트에 도착한 메일이 있는지 POP3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있다. |
4. | mail 이라는 명령어를 이용하여 한 개의 메일을 발송하고 있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82. | 다음 중 xinetd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닌 것은?(2008년 03월) |
2. | 동시에 작동하는 동일 유형 서버 수에 대한 제어 |
4. | Squid와 같은 Proxy를 이용한 접근 제어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
83. | 다음은 인터넷 수퍼데몬(xinetd)을 이용하여 ftp 서비스를 설정한 예이다.서버의 부하가 10이상 일 때 FTP서버에 대한 요청을 거부하기 위해 ( )안에 들어갈 속성은 다음 중 무엇인가?(2010년 03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5%
|
84. | 다음 중 여러 개의 사이트를 웹호스팅 할 경우에 각각의 사이트에서 admin이라는 메일 사용자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
2. | /etc/mail/virtusertable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2%
|
85. | 다음 xinetd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
1. | TCP,UDP 및 RPC 서비스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한다. |
3. | 접속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완전한 로깅기능을 제공한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2%
|
86. | DNS의 zone파일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1월) |
1. | Refresh : 주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간의 정보 동기화를 위해 시간 간격을 지정한다. |
2. | A : 한 개의 도메인에 대해 다른 이름을 갖도록 하는 기능이다. |
3. | MX : 해당 호스트의 메일 라우팅 경로를 지시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4%
|
87. | 다음 중 취약한 전자우편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호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
1. | SSL(Secure Sockets Layer) |
2. |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 |
4. | PGP(Pretty Good Privacy)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4%
|
88. | 다음 /etc/xinetd.conf 파일의 내용 중 cps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
 1. | 초당 연결수가 30개 이상이 되면 25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
2. | 초당 연결수가 25개 이상이 되면 30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
3. | 1개 IP주소 당 접속 수가 25개 이상이 되면 30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
4. | 1개 IP주소 당 접속 수가 30개 이상이 되면 25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0%
|
89. | NIS와 관련된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6월) |
1. | ypcat : NIS 맵(Map)의 내용을 출력한다. |
2. | ypwhich : NIS 서비스를 담당할 NIS 서버의 이름을 출력한다. |
3. | ypmatch : 특정 NIS 서버를 찾을 수 있다. |
4. | yppasswd : NIS 서버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 있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0. | 위의 DNS 서버의 forward 영역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
 1. | ihd.or.kr의 네임서버는 dns.ihd.or.kr이라는 이름을 갖는다. |
2. | ihd.or.kr와 dns.ihd.or.kr의 IP주소는 192.168.1.5 이다. |
3. | 메일서버는 mail.ihd.or.kr이며 IP주소는 192.168.1.6 이다. |
4. | ihd.or.kr은 dns.ihd.or.kr 또는 root.ihd.or.kr로도 접근이 가능하다.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9%
|
91. | 다음 중 xinetd를 사용할 때 가장 효율적인 사례로 알맞은 것은?(2015년 03월) |
1. | 웹 서비스와 같이 사용자 접속이 많은 경우 |
4. | 서비스는 필요하나 사용자의 요청이 거의 없는 경우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2%
| <문제 해설> 데몬 (Daemon) - 서비스(service)라고도 부르는 데몬(daemon)은 웹 서버 , 네임 서버, DB 서버 등의 서버 프로세스를 뜻한다. 데몬은 리눅스가 가동되면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처럼 시스템에서 활동중인 프로세스이다. 서버 데몬은 standalone type 과 inetd(xinetd) type 으로 나뉜다.
standalone type - 시스템에 독자적으로 프로세스가 구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몬을 말한다. - 예를 들면, 웹서버(httpd), DB 서버(mysqld), 센드메일 서버(sendmail) 등이 있다. - 실행 및 종료는 대게 "service 데몬 이름 start/stop/restart" 로 사용된다. - 데몬의 실행 스크립트 파일은 "/etc/inetd.d/" 디렉토리에 주로 들어 있다.
inetd(xinetd) type - xinetd 데몬(standalone type)이 구동중이다가 외부에서 특정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자신에게 종속된 데몬중 해당하는 데몬을 구동시킨 후에 서비스를 연결하도록 해준다. - 이때 실행되는 데몬이 inetd(xinetd) type 의 데몬이다. - 요청된 서비스가 끝날경우 inetd(xinetd) type 의 데몬은 xinetd 데몬에 의해 자동으로 종료된다. - 데몬의 실행 스크립트 파일은 "/etc/xinetd.d" 디렉토리에 들어 있다. - xinetd 데몬이 서비스하는 포트는 "/etc/services"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ㄱㅇㄷ] |
|
92. | 다음 DHCP 서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3월) |
1. | 각각의 클라이언트의 모든 서비스 설정을 원격으로 가능케 한다. |
2. | 각 호스트의 중요한 네트워크 설정 사항을 서버에서의 설정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설정해 준다. |
3.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이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22%
|
93. | NIS(Network Information System)서버를 구성한 후 호스트(Host) 검색시 NIS를 이용하도록 설정 할 때 사용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14%
|
94. | DHCP 서버에서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9월) |
1. | DHCP는 1개의 서브넷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
2. |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
3. | DHCP는 사설망에서 고정 IP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
4. | DHCP 클라이언트는 부팅 시, IP 주소를 받아오기 위해 요청한다.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1%
|
95. | DHCP 서버의 설정 파일인 dhcpd.conf 파일에서 DHCP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에 어떠한 요청을 하도록 하는 설정이 아닌 것은?(2003년 01월)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6. | 다음 중 DoS 공격의 유형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56%
|
97. | 다음에서 설명하는 상황과 가장 밀접한 침해유형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63%
| <문제 해설> 웜 :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을 복제하고 전파하는 악성프로그램. (컴퓨터에 숨음 >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로 침투/감염) 단순히 자기 복사 기능만 가졌지만 막대한 시스템 과부하를 일으킴 바이러스 : 파일,부트,메모리 영역에서 스스로를 복사하는 악성프로그램으로 파일 속에 숨음 > 컴퓨터 내의 프로그램을 변형/기존 프로그램의 정상적 작동을 방해하며 자신의 변형을 복제하고 다른 컴퓨터를 감염. 트로이목마 : 자기 복제 능력이 없으나 바이러스 등의 위험인자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램. 특정 컴퓨터에 넣어두었다가 컴퓨터 시스템을 파괴하고, 컴퓨터 내의 자료를 몰래 훔쳐냄 [해설작성자 : 나나] |
|
98. |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7년 05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99. | 다음은 DHCP서버 설정파일인 dhcpd.conf파일의 일부분이다. 이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9월) |
 1. | DHCP클라이언트가 요청하지 않아도 IP를 할당해 주는 최대 시간은 6시간이다. |
2. | DHCP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된 IP는 요청이 있는 한 계속 지속된다. |
3. | DHCP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된 IP는 6시간이 지나면 사용자의 요청과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24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다. |
4. | DHCP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된 IP는 요청이 있어도 6시간이 지나면 소멸되고 재 할당된다. |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알수없음
|
100. | 해커를 유인하여 그들의 해킹 수법이나 행동방식 등을 연구하기 위한 서버로 해커의 접근 시 해커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여 최신 해킹 기술이나 해커의 신분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서버의 이름은 무엇인가?(2002년 05월) |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율 : 47%
|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55469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